서울우유, '총대'메고 우유값 인상 추진

머니투데이 장시복 기자 2011.10.11 17:05
글자크기

(종합)정부 '눈치'에 제동 걸릴 가능성도 커… 관련 업계 영향 크지 않을 것 분석도

국내 최대 유업체인 서울우유가 우유 가격을 평균 10% 안팎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정부의 물가관리 압박이 거세 인상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관측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우유는 조만간 긴급이사회를 소집해 늦어도 다음달 초·중순까지 우유가격을 10% 안팎 올릴 계획이다. 서울우유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현재 여러 안을 놓고 인상 시기와 가격 인상폭을 막판 조율 중"이라며 "소비자 물가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되도록 인상폭이 10%를 넘지 않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10% 선에서 인상될 경우 현재 일선 소매점 가격이 2200원인 1ℓ들이 흰우유는 2450원 정도로 오를 전망이다. 또 가격이 50원 정도 싼 대형마트에선 2150원인 가격이 2370원 안팎으로 오르게 된다.

지난 8월 16일부터 낙농농가가 유업체에 납품하는 원유(原乳)가격이 ℓ당 138원 인상됐지만, 서울우유 등 유업체들은 연말까지 우유 값 인상을 자제해달라는 정부 요청에 따라왔다.



하지만 실적이 악화되면서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는 판단에 선두 업체인 서울우유가 '총대'를 메고 나선 것이다. 서울우유의 경우 하루 3억원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에 서울우유가 우유 값 인상에 나서면서 남양유업과 매일유업 등 다른 우유 업체들의 가격 인상 도미노가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한 업체 관계자는 "하루 1억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어 우유가격을 꼭 올려야한다"며 "인상폭과 시기는 좀 더 상황을 지켜보고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사실 원유가 인상률을 볼 때 15%는 올려야 하지만 정부 정책에 부응코자 10% 선에서 조율을 하려는 것"이라고 부연설명했다.

하지만 정부가 우유업계의 가격인상 움직임에 발끈하고 있어 제동이 걸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우유를 주원료로 쓰는 제빵 및 커피 등에 영향을 미칠 경우, 하반기 생활물가 관리에 난항이 예상돼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이날 오전 우유업계 관계자들을 긴급 소집, 흰 우유 가격 인상을 자제해 줄 것을 촉구했다고 업계에선 밝혔다. 이후 서울우유도 이날 오후 늦게 공식 입장을 내고 "현재까지 인상시기 및 인상폭이 전혀 결정된 바 없다. 결정되는 대로 다시 알리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7일 정부에 공동 탄원서를 제출할 정도로 유업체들도 다급한 입장이어서 한동안 줄다리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이번 우유가격 인상이 다른 식품 가격에 미치는 파장이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우유가 많이 들어가는 카페라떼나 우유식빵 등 일부 품목에나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다.

파리바게뜨(빵)과 파스쿠찌(커피)로 잘 알려진 SPC그룹은 "이미 지난 8월 원유가 인상당시 공언했던 대로 우유가격이 오른다고 하더라도 우리 계열브랜드 모든 제품 가격은 동결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뚜레주르(빵)와 투썸플레이스(커피)를 보유한 CJ푸드빌도 "일부 품목에나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인상이 확정되며 원가 분석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커피전문점 스타벅스의 경우도 지난 4월 방한한 하워드 슐츠 회장이 "올해 안엔 인상 계획이 없다"고 공언한 바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