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켈, 그리스 추가지원안 재협상 시사

머니투데이 조철희 기자 2011.09.28 14:56
글자크기

"트로이카 실사 결과 보고 재협상 판단해야"…민간채권단 손실부담 확대 의지 반영

그리스 2차 구제금융 지원안의 민간 참여 범위를 두고 유로존 각국 사이에 갈등이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지원 방안의 재협상 가능성을 시사해 파장이 일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메르켈 총리는 27일(현지시간) 그리스 국영TV NET에 지원안 재협상 여부는 유럽연합(EU), 유럽중앙은행(ECB), 국제통화기금(IMF) 등 이른바 '트로이카' 그리스 실사단의 실사 결과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메르켈 총리는 추가적인 부연 설명 없이 "실사단이 무엇을 찾아내 어떤 말을 할지 기다려 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게오르그 파판드레우 그리스 총리를 만나 그리스 지원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재확인하면서도 여전히 까다로운 태도를 고수하고 있는 모습이다.

독일은 그동안 계속해서 그리스 추가 지원의 세부 협상은 오로지 트로이카 실사단이 그리스가 1차 구제금융의 6번째 지원분을 받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했을 때만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때마침 트로이카 실사단은 이날 그리스에 도착해 본격적으로 실사를 벌일 예정이다. 앞서 전날 그리스 의회는 부동산세 도입을 포함한 추가 긴축안을 통과시키는 등 실사단으로부터 지원 적합 판단을 받기 위해 재정적자 감축 노력을 드러내 보였다.

한편 지난 7월 유로존 정상들이 합의한 1090억 유로 규모의 그리스 2차 구제금융 지원안은 그리스 민간 채권단이 오는 2020년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그리스 채권을 수십 년간 상환이 연장되는 EU 보증채로 바꾸는 대신 그리스의 채무를 21% 깎아 주기로 하는 조건이 달렸다.

그러나 다수 전문가들은 50%가 넘는 민간의 손실 부담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유로존 17개국 중 독일과 네덜란드 등 7개국이 민간 채권단의 추가적인 고통분담을 요구하고 있다.


메르켈 총리가 그리스 지원안의 재협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도 이같은 독일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 24일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그리스 추가 지원안에서 민간 참여 부분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