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문여는 78개 저축銀, "시장과 마지막 게임"

머니투데이 박재범 기자 2011.09.18 16:28
글자크기
'85개중 7개 퇴출' 지난 7월 4일 시작된 하반기 저축은행 구조조정의 결과다. 비율로 따지면 10%가 안 된다. 규모별로 보면 대형(자산 2조원 이상) 2개, 중대형(1조원 이상) 2개, 중소형(1조원 미만) 3개다. 대형 저축은행 다수가 적기시정조치 대상이었는데 많이 빠져나갔다. 일각에서 '대마불사' 등의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반면 '퇴출'보다 '정상화'에 방점을 찍은 당국의 생각은 다르다. 대마불사보다 살기 위한 대마의 노력을 주시해야 한다는 게 당국의 입장이다. 과정만 봐도 그렇다. 85개 저축은행 경영진단 결과 1차 합격점을 받은 곳은 50개. 이들에 대한 경영진단은 곧바로 종료됐다. 남은 35개중 법규 위반 혐의가 나타난 저축은행 대상으로 집중 검사가 진행됐다.



그 결과 16개 저축은행이 적기시정조치 대상으로 분류됐다. 이중 12곳은 '영업정지' 조치가 가능한 경영개선명령 대상이었다. 최종 퇴출 명령은 7곳이 받았다. 절반을 약간 넘는 숫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퇴출 대상 중 절반이 현실성있는 정상화 계획을 냈고 나머지가 퇴출당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생사의 갈림길에서 적잖은 저축은행이 △대주주 증자 △계열사 매각 △부동산 등 자산 매각 △대주주 각서 등을 담은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부실 저축은행이 단기간에 체질 개선을 위한 각고의 노력을 했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평했다. 이어 "정상 저축은행이 90%를 넘는 셈"이라고 강조했다. '퇴출'보다 '정상화'에 방점을 찍어달라는 얘기다.



그러면서 영업정지 등을 유예한 6곳에 대해선 구체적 언급을 자제했다. 자칫 시장 혼란을 부추길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상반기 학습 효과가 작용했다. 지난 2월 일부 저축은행에 대해 영업정지 조치를 내리면서 적기시정조치 유예 대상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게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으로 이어진 사례를 반면교사 삼은 것. 퇴출과 정상을 한묶음에 놓을 경우 정상도 퇴출로 인식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했다.

이렇듯 이제 판단은 시장의 몫이다. 금융당국이 정상이라고 판단한 90% 이상 저축은행에 대해 고객과 시장이 어떤 평가를 하느냐에 따라 구조조정의 성패가 갈린다.

현재로선 불안 심리만 확산되지 않는다면 연착륙은 어렵지 않다. 다만 유예된 곳을 비롯 일부 저축은행에 대한 '신뢰'가 사라지기 시작하면 문제가 복잡해진다.


저축은행이 문을 여는 월요일(19일)부터 며칠간이 관건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저축은행 구조조정이) 사실상 일단락됐지만 마지막 게임은 남아 있다"고 말했다.

잠재 부실을 털어낼 수 있느냐에다 저축은행의 '먹거리' 문제까지 남은 변수도 여럿 있다. 외적 변수도 있다. 대표적인 게 유럽발 위기 등과 맞물린 경기 침체다. 부동산 시장이 더 악화되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에 생사가 걸린 저축은행의 앞길은 불 보듯 뻔하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