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는 오르는데 제약주만 '오리알', 왜?

머니투데이 황국상 기자 2011.08.17 14:41
글자크기

이분화된 규제구조 주원인으로 지목.. "국내제약사 위축, 외국제약사만 살찌울수도"

바이오 업체와 의료기기 업체의 주가는 오르는데 전통 제약업종의 주가만 떨어지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이분화된 규제구조가 주 원인으로 지목된다. 바이오산업은 신산업 육성이 주 업무인 지식경제부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전통 제약업체의 경우 건강보험 재정 건전화라는 과제를 떠안은 보건복지부의 관할에 놓여 있기 때문이라는 말.

17일 오후 2시 현재 코스피 의약품 업종지수는 전일 대비 0.49% 내린 3632.22를 기록하며 이틀째 약세다. 코스피시장 18개 업종 중 이날 하락세인 업종은 의약품 업종과 섬유의복 업종 등 단 2개에 불과하다.



반면 코스닥 제약업종 지수는 1.80% 오른 3269.71을 기록하며 닷새째 상승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코스닥 제약업종에는 대표적 바이오시밀러 업체인 셀트리온 (201,500원 0.00%)을 비롯해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 (25,150원 ▼250 -0.98%), 줄기세포 치료제 업체인 메디포스트 (5,940원 ▼10 -0.17%), 혈당측정기 및 바이오센서 제조업체인 인포피아 (12,900원 ▼240 -1.83%), 원료의약품 제조사 하이텍팜 (14,000원 ▲330 +2.41%) 등 바이오 업체들이 대거 포진해 있는다.



이에 비해 코스피 의약품업종에는 전통적인 형태의 제약사들이 주로 편입돼 있는 게 특징이다. 이름만 봐서는 비슷해 보이는 의약품, 제약업종 지수의 엇갈린 행보는 편입기업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그런데 큰 틀에서 '약품'을 만든다는 점에서 같음에도 바이오업종은 정부의 육성대상 산업으로 꼽혀 지원을 받는 반면, 제약업종은 규제업종으로 찍혀 수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복지부는 최근 수년에 걸쳐 의사·약사에 대한 제약업체의 리베이트 제공관행을 타파하기 위한 규제를 실시해왔다. 리베이트 제공비용이 약값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 때문에 건강보험 재정도 취약해진다는 판단에서 리베이트 영업에 대한 대대적 단속에 들어갔던 것.


또 지난 12일에는 2010년 기준 건보 급여액 중 29%를 차지하는 약품비 비중을 2013년 24%대로 낮추기 위해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제네릭(복제) 의약품의 가격을 오리지널 신약 가격 대비 68~80%에서 53.55%로 깎는 등 내용의 약가제도 개편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만큼 제약업체의 수익이 떨어질 수 있다는 말이다. 정보라 대신증권 연구원은 "신규 제네릭 가격이 기대가격보다 12.5% 줄어 기대매출이 감소할 것"이라며 "제네릭 신제품 출시 1년 후 다시 10~23%의 매출하락이 일어나고 품목별로 최대 33%의 매출감소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반면 바이오업종이나 의료기기 업체의 경우 정부의 애정을 듬뿍 받고 있다. 지경부는 총 2500억원의 펀드를 조성해 바이오·의료기기 산업을 포함한 7개 신성장동력 산업에 투자하는 것을 비롯해 정부가 직접 나서서 해외 바이오업체와의 협력을 도모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김나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정책적 균형이 깨져 있기 때문에 제약에서 눌렸던 투자자 심리가 바이오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정부가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해 취하는 정책으로 외국제약사 제품에 대한 국내 의존도가 높아진다"며 "그만큼 외국계 제약사만 살찌우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셀트리온 차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