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휴대전화 사업 W 철수한다

머니투데이 조성훈 기자, 반준환 기자 2011.07.21 05:00
글자크기

연말경 SK텔레시스 단말사업 중단, 그룹 지배구조 개편 일환

SK그룹이 'W'브랜드를 내걸고 시작한 휴대폰 제조업에서 철수한다. 이는 2009년 사업에 뛰어든지 2년만에 내려진 것으로, 애플이나 삼성, LG 등 선두업체와의 격차를 좁기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0일 SK그룹에 따르면 최고위 경영진은 최근 SK텔레시스의 W폰 제조부문 사업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해 이 사업을 중단하기로 최종방침을 정했다.



SK그룹 고위 관계자는 "최신원 SKC 회장 등 휴대폰 단말기 사업과 관련된 경영진이 사업중단 결정을 내렸다"며 "구체적인 시기와 방식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조만간 공식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SK텔레콤과 여러 분야에서 시너지를 낼 것으로 봤으나 사업성에 한계가 있었다"며 "사업철수에 따른 손실은 불가피하나 규모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SK그룹, 휴대전화 사업 W 철수한다


SK텔레콤과 SKC, SK텔레시스 등 계열사들도 W폰 사업 철수를 위한 사전 준비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업 중단이 공식화되는 시점은 올 연말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언이다.



그러나 사업철수 과정에서 풀어야 할 숙제가 적잖아 막판 진통이 예상된다. 인력재배치를 비롯해 휴대폰 단말기 재고처리, 제품개발 라인 외부매각 등을 조율해야 한다. 외부에 위탁하고 있는 W폰 제조계약도 검토해야 한다.

SK텔레시스 등의 사업부문에는 이 방침이 아직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시스 휴대폰 사업부 임원은 "지난해 하반기와 올 4월 전후로 일시적 유동성 위기가 있었으나 지금은 해결됐다"며 "내달 신제품을 내놓고 내년 롱텀에볼루션(LTE) 단말기 개발도 준비중이라 사업중단 가능성은 없다"고 부인했다.

SK그룹이 W폰 사업을 시작한 건 2009년 8월이다. '이동통신 인프라-고객마케팅-서비스 사업'에 이어 수직계열화를 완성하겠다는 게 SK그룹의 구상이었다. 휴대폰 사업은 최신원 회장이 경영해온 SKC 산하의 통신장비업체 업체인 SK텔레시스가 맡아, 그해 8월 SK텔레택(현 팬택) 인력을 주축으로 신규사업부가 만들어졌다.


당시 최 회장이 강한 의지를 보였던 것은 통신시장의 입지강화와 함께, 그룹 지배구조 재편을 염두에 둔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SK텔레시스가 성장하면 최종건 SK창업주의 장손인 최 회장도 그룹내 위상이 올라갈 수 있다. 이후 SK텔레시스는 다양한 W폰 제품을 SK텔레콤에 납품, 시장공략에 나섰으나 진출이 늦은데다 아이폰, 갤럭시S 등 스마트폰으로 시장판도가 크게 바뀌면서 고전을 면치 못했고 적자도 누적됐다.

지난해 휴대폰 사업에서만 200억원 이상 적자를 기록하며 자금난에 시달렸고 올들어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최근 최 회장은 유상증자를 통해 긴급자금을 수혈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