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선 전체 불법 규정시 시장 위축·투자자 피해 "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 2011.07.19 08:07
글자크기

[전용선 불똥, 선물 옵션으로 튀나]

검찰의 주식워런트증권(ELW) 부당거래 수사로 시작된 증권사와 스캘퍼(초단타매매자)간 전용선 문제가 일반 선물·옵션시장과 현물시장으로까지 확대될 조짐을 보이면서 증권업계가 잔뜩 긴장하고 있다.

1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검찰 수사와 별개로 증권사들의 ELW거래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당국은 특히 검사과정에서 일부 중소형 사의 옵션거래에서 스캘퍼 등에게 전용선을 제공하는 과정에도 불법적인 요인이 있었는지를 확인할 방침이다.



통상 증권사가 기관이나 외국인, 일부 우수고객(VIP)에게 제공하는 직접전용주문(DMA) 개념의 전용선은 현재 ELW 시장만이 아니라 선물·옵션과 현물시장에서도 광범위하게 통용되고 있다.

"전용선 전체 불법 규정시 시장 위축·투자자 피해 "


증권업계에서는 검찰이 문제 삼는 전용선 제공 자체가 불법으로 규정될 경우 이미 1/3토막이 난 ELW 시장에 이어 선물과 현물시장을 포함한 자본시장 전체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증권업계는 금융투자협회를 중심으로 전용선 제공에 대한 공동 입장을 정리하고 검찰의 논리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일단 증권사가 일부 VIP 고객에게 전용선을 제공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라는 것이 금투협의 입장이다. 시장 활성화를 위해 거래소나 증권사 등 시장 플레이어가 취할 수 있는 조치 가운데 하나라는 것이다.

자본시장연구원이 이달 초 발행한 정기간행물에 따르면 미국의 양대 선물거래소 중 하나인 시카고상업거래소(CME)를 비롯해 런던증권거래소(LSE) 등 세계 주요 거래소와 대형 금융사는 잇따라 전용선 제공 경쟁을 벌이고 있다.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파생상품실장은 "세계 주요 거래소에서는 일반투자자도 증권사의 보증을 받으면 전용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며 "일부 거래소에서는 주문처리 서버를 아예 거래소 데이터센터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금투협은 이와 관련, 지난주부터 홍콩거래소 등을 중심으로 세계 주요 거래소의 전용선 제공 실태와 유권해석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투협 관계자는 "국내 전용선 제공의 모델이 된 곳이 홍콩거래소"라며 "홍콩거래소에서는 전용선 제공에 대해 어떤 유권해석을 내리고 있는지 등을 알아보고 있다"고 밝혔다.

"전용선 전체 불법 규정시 시장 위축·투자자 피해 "
금투협은 만약 전용선 제공이 제한될 경우 시장 위축은 물론, 오히려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가 커질 가능성이 적잖다는 논리도 다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꺼번에 대규모 물량을 주문하는 스캘퍼에게 전용선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주문이 일반회선으로 몰리면서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사양이 낮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일반 투자자는 주문도 못 넣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금투협 관계자는 "고속도로에 추월선을 만든 이유도 주행선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제대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서가 아니냐"며 "증권사의 전용선 제공 문제도 그런 측면에서 볼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관련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투협은 또 최악의 경우 ELW 전용선 제공이 불법으로 규정되더라도 전용선 제한이 전체 시장으로 확대되는 것은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금투협 관계자는 "일반 선물·옵션시장과 현물시장에서까지 전용선을 제한한다면 시장 전체를 죽이는 결과가 빚어질 것"이라며 "이는 세계적인 추세에 반하는 것은 물론, 국가 경쟁력 차원의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