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 옵션 전용선, 통제·차별 여부가 관건"

머니투데이 박재범 기자 2011.07.19 08:12
글자크기

[전용선 불똥, 선물 옵션으로 튀나]금융당국, ELW 전용선 위법 잣대 동일 적용

금융당국이 주식워런트증권(ELW) 부당거래 사건의 핵으로 떠오른 '전용선'의 합법성 잣대를 일반 선물 옵션 거래에도 적용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증시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전용선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통제가능성과 차별적인 서비스 제공 여부가 문제"라는게 금융당국의 시각이다. 기본적으로는 ELW이건 선물 옵션이건 판단기준은 동일하다는 것이다.



주문 시스템 흐름도를 보면 투자자가 주문을 내면 증권사 주문시스템에 탑재돼 주문처리 단계를 밟게 된다. 여기까지 연결되는 게 바로 '전용선'이다.

홈트레이딩시스템(HTS)나 메신저보다 빠른 주문을 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주문시스템과 주문 처리 단계 사이에 방화벽이 설치돼 있다. 방화벽까지 도달하는 시간차는 인정되지만 그 다음 주문 순서는 접수된 그대로다.



ELW 사태에서 문제가 된 게 바로 이 지점이다. '방화벽'을 두지 않고 사실상 주문 처리 단계까지 고속도로를 놔 준 증권사가 있다는 것. 이는 옵션 시장에서도 다르지 않다.

금융당국은 ELW와 비슷한 사례가 옵션 거래 때도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한마디로 '방화벽' 등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최근 검찰의 ELW 수사 때도 전용선 자체를 문제 삼았다기보다 통제 미흡을 지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다른 포인트는 차별 대우다. ELW 시장의 경우 증권사가 소수의 스캘퍼(초단차매매자)에게만 전용선을 제공한 게 대표적인 예다. 일반 투자자는 서비스 내용 자체를 모른 채 배제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전용선을 제공하더라도 고객 모두에게 선택권을 준 뒤 고객이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며 "ELW나 옵션 시장 등에서 관행처럼 일부 고객에게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했다면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