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 벽 허물어 '30만' 청년실업 해결한다

머니투데이 정진우 기자 2011.06.14 16:18
글자크기

최중경 지경부 장관과 이주호 교과부 장관 15일 만찬...'산업인력 육성 대책' 논의

↑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왼쪽)과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사진: 각 부처)↑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왼쪽)과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사진: 각 부처)


산업인력 수요 부처인 지식경제부와 인력 공급 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가 손잡고 '산업인력 육성 종합대책'을 내놓는다. 두 부처는 '산업인력 수요·공급간 일자리 확대'를 목표로 구체적인 전략 마련에 착수할 계획이다.

14일 정부에 따르면 최중경 지경부 장관과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15일 서울 모처에서 만찬 모임을 갖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세부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최 장관과 이 장관은 △민간중심 산학협력체계 구축 △수요지향적 인력양성 기반 구축 △미래 수요에 맞춘 고급인력 양성 △중소기업과 고용연계 등을 구체적으로 협의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지경부 산업정책과와 교과부 산학협력과는 앞으로 실무추진 기구를 구성, 관련 대책을 수립할 방침이다.

지경부와 교과부 수장이 산업인력 수급 문제를 놓고 회동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모임은 이 장관 제의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청년실업은 계속 늘고 있는데, 기업들은 저마다 일할 사람이 없다고 아우성치고 있어서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산·학간 미스매치 인력은 30만 명에 이를 정도로 산업인력 수급 문제가 심각하다. 산업인력 공급부처 수장인 이 장관이 타개책 마련을 위해 수요부처 수장인 최 장관에게 만남을 제의한 것이다.

최 장관은 취임 초부터 기업 현장의 맞춤형 인력 양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해온 터라 이 장관의 제의를 즉각 수락했다는 후문이다. '산업인력 양성'은 '국가 간 산업협력'과 더불어 최 장관의 핵심 콘텐츠다.

최 장관은 그동안 공식석상에서 "인력수급 불일치 때문에 일자리가 있어도 취업을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며 "산업현장의 문제 해결능력을 갖춘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찾게 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해 왔다. 최 장관은 또 "연구개발 정책도 인력양성 중심으로 재편하고, 이공계 학생들의 현장적응 능력을 높여주기 위한 세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경부와 교과부의 협력 모델은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강조한 '부처 간 칸막이 제거' 취지에 들어맞는 사례라는 평가다. 관가에선 다른 부처들도 앞으로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타 부처와 협력하는 모습을 많이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경부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산업단지에 대학을 유치하는 등 개별 사안에 대해서만 교과부와 의견을 나눴지만, 앞으로 산업과 대학 간 연결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것을 포함해 산업인력 양성 정책 전반을 함께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산학협력 중심대학과 산학융합지구 인력양성 등 맞춤형 전략으로 산업인력 미스매치 문제를 풀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