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대책'에 숨은 칼바람…건설업계 '촉각'

머니투데이 전병윤 기자 2011.05.02 16:45
글자크기

채권은행 신용평가 결과 후 구조조정 예고…기촉법 부활에 속도 붙을 듯

 '5·1대책'이 발표된 후 건설업계가 떨고 있다. 또한차례 '칼바람'이 불 것이란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정부가 채권은행의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6월중 옥석가리기를 하겠다고 밝히자 건설업계는 이를 '4차 구조조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5·1대책'에 숨은 칼바람…건설업계 '촉각'


 특히 'BBB'급(회사채 신용등급 기준) 건설사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구조조정을 위한 평가대상에 포함될 공산이 크다는 관측 때문이다.

가뜩이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중에 평가 바람까지 분다면 부담이 될 수밖에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다. 정부가 이번 대책에서 금융권의 'PF정상화뱅크'를 통해 회생 가능한 건설사의 유동성을 지원하겠다는 것도 연쇄부실을 막기 위한 조치다.



 은행들은 매년 6월 실시하는 기업 신용위험평가를 앞두고 건설업계를 정조준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용위험평가 결과는 'PF정상화뱅크'가 지원할 대상을 추리는 리스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는 워크아웃 대상이 예상보다 많아질 것이라며 불안해 한다. 채권은행들은 대그룹계열 건설사들에 대해 깐깐한 심사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그룹계열 건설사들은 그동안 그룹의 지원 가능성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을 받아왔다.



권영종 채권금융기관 조정위원회 국장은 "은행들도 구속력 있는 확약서가 없으면 그룹계열사란 이유만으로 등급에 가점을 주지 않을 방침이어서 워크아웃의 객관성과 실효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5·1대책'에 숨은 칼바람…건설업계 '촉각'
 건설업계는 'BBB+'급 이하(회사채 기준) 건설사의 일부가 워크아웃 대상에 추가 편입되거나 'A-'급도 일부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감독당국은 애써 채권은행들의 신용위험평가와 거리를 두고 있다. '관치'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서다.

그러면서도 더 엄격한 잣대를 통해 옥석가리기가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기업재무개선지원단 김 건 과장은 "은행들의 신용위험평가가 연례적인 행사라고 해도 이번엔 남다른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옥석가리기가 건설업계의 본격적인 워크아웃으로 이어질지도 주목된다. 지난달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이하 기촉법)이 되살아나면서 구조조정에도 한층 속도가 붙을 것이란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최근 기촉법 부재 상태에서 LIG건설, 삼부토건, 동양건설산업 등은 워크아웃을 시도하지도 못한 채 법정관리로 직행했다.


 그러나 워크아웃에 대한 건설업계의 정서적 반감이 강해 두고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은행들이 기업의 영속성을 보장하지 않은 채 채권회수를 위해 사옥과 자산 등을 대부분 매각해 사실상 껍데기만 남겨놨다는 게 건설사들의 비판이다.

2009년 워크아웃에 들어간 월드건설이 결국 지난 2월 법정관리로 간 것을 업계는 지켜봤다. 차라리 법정관리에 들어가 회생절차를 차근차근 밟는 게 낫다는 지적도 나온다. 새로 발효된 기촉법에 따르면 채권은행들이 워크아웃에 합의하더라도 건설사들이 동의하지 않으면 강제할 수 없다.

 당국은 이번 제도 개선으로 폐해를 줄였기 때문에 워크아웃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개정 기촉법에는 채권은행들의 신용위험평가에 해당 기업들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장치를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