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방사능 유출량 체르노빌 넘을 것"-도쿄전력

머니투데이 조철희 기자 2011.04.12 16:09
글자크기

(종합)사고등급 최고 레벨7 격상… 5이상 여진 400여차례 지속속 더딘 정상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지난 1986년 체르노빌 사고를 넘나드는 최악의 상황까지 치달았다. 일본 정부는 사태의 심각성을 반영해 사고 등급을 최고 수준까지 격상시켰고 당초보다 경제 피해도 심각하다고 밝혔다. 또 추가 사고는 없었지만 강도 높은 여진이 그치질 않아 원전 불안감은 더욱 고조됐다.

도쿄전력은 12일 "후쿠시마 제1원전의 방사성 물질 누출이 멈추지 않고 있다"며 "원자로에서 방사성 물질이 100% 밖으로 나가면 체르노빌 사고 때의 방사성 물질 누출량을 초과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물질 누출량은 체르노빌 사고 때의 520만 테라베크렐(1테라베크렐=1조 베크렐)의 10%도 안되지만 원전 복구가 지연된다면 체르노빌 수준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것이다. 사상 최악의 원전 사고에 체르노빌이 아닌 후쿠시마의 이름이 차지할 가능성이 있다.

이같은 우려에 대해 일본 정부는 스스로 경고등을 켰다. 이날 경제산업성 원자력안전보안원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국제원자력사고등급(INES)을 최고 등급인 7등급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지금까지 유일한 7등급 사고였던 체르노빌 사고와 같은 수준이다.



지난달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JAEA)는 미국 스리마일 원전 사고보다 아래인 4등급로 진단했고 원자력안전보안원은 5등급으로 잠정 평가했다. 그러나 방사성 물질 누출량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심각성을 반영해 등급을 격상시켰다.

원자력안전보안원에 따르면 지금까지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물질 누출량은 37만 테라베크렐로 추정된다. 또 내각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63만 테라베크렐로 보고 있다. 아직 체르노빌 사고 때의 10%도 안되는 양이지만 이미 7등급에 해당한다. INES에서는 수만 테라베크렐의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 7등급에 해당된다.

이처럼 계속되는 방사성 물질 누출을 막는 것이 시급함에도 사고 수습 작업은 난항을 겪고 있다. 이날에도 도쿄전력은 전원 복구와 오염수 제거 작업에 나섰지만 강도 높은 여진이 발생해 작업원들을 대피시키면서 특별한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전날 후쿠시마 해안에서 규모 7.0의 여진이 발생한 데 이어 이날에는 오전과 오후에도 규모 6 이상의 여진이 두차례나 발생해 당국과 피해 지역 주민들을 긴장시켰다. 특히 오전에는 수도 도쿄 인근의 지바현을 진원지로 규모 6.3의 강진이 일어났다.

원전의 추가 피해는 없었지만 후쿠시마 원전의 경우 복구 작업에 차질이 빚어졌다. 지난달 11일 대지진 발생 이후 규모 5.0 이상의 강도 높은 여진은 모두 400회가 넘을 정도로 잇따르고 있다.

원전 사고 수습의 난항과 잇따르는 여진 등에 산업과 경제 전반의 피해도 심화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날 발표한 월례 경제보고서에서 경기 판단을 전달의 "회복세로 바뀌고 있다"에서 "지진 영향으로 경기의 약한 움직임을 볼 수 있다"로 하향 조정했다.

일본 정부는 지진으로 인한 직접적인 공장 피해 및 부품 공급 두절, 계획정전에 따른 공장 가동 중단 등으로 생산 활동이 약해지는 동시에 원전 사고로 소비 심리가 위축돼 경기회복의 기조가 중단됐다고 판단했다.

요사노 가오루 경제재정담당상은 이날 오전 각료회의 후 기자회견을 통해 "1차 산업뿐만 아니라 첨단 제조업도 있던 지역이 피해를 입었다"며 "당초 예상보다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우려했다.

그는 "후쿠시마 원전의 일정한 범위 내에서는 대피가 불가피해 수산업, 관광업 등이 피해를 입고 있다"며 "사회 전체가 자숙 분위기여서 생산이 위축되는 등 타격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