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리비아內 건설근로자 최소인원 잔류 결정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2011.03.24 14:40
글자크기

사태 진정후 원활한 공사진행가 미수금 발생 방지 위해

국토해양부와 리비아 진출 국내 건설사들이 건설현장의 보존을 위해 최소인력을 남겨놓기로 방침을 정했다.

국토해양부는 연일 계속되는 연합군의 리비아 공습으로 리비아내 교민 및 건설근로자의 안전문제가 불거지고 있지만 사태 이후 원활한 공사 진행을 위해 현장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판단, 최소인원을 남기기로 결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국토부는 현재 리비아에 진출한 건설사를 대상으로 체류인원과 철수인원, 철수방법 등을 파악하고 있다. 현재 리비아에서 국내 건설사들은 총 30건, 85억달러(2월말 기준) 규모의 공사를 진행 중이다.



그동안 외교통상부는 연합군의 리비아 공습이 이어지면서 오폭에 의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상태가 악화돼 철수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해 국토부에 건설근로자들의 완전철수를 요구해왔다.

반면 국토부와 건설사들은 현 리비아 사태가 불가항력적인 상황이라고는 하지만 현장을 보존 못할 경우 공사 진행이 불가능하고 발주처와의 공사대금 지급협상 때 불리해질 수 있다며 최소인원을 남기고 철수하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미 각 건설사들은 외교부로부터 리비아에 남아있는 건설근로자들의 체류허가를 모두 받은 상태여서 잔류인원이 확정될 경우 나머지 인원은 바로 철수하면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외교부에서 요구한 건설근로자들의 완전철수는 건설업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며 "원활한 공사 진행과 미수금 우려를 없애기 위해 최소인원만 남기기로 했다"고 말했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날이 지날수록 연합군의 공습이 잦아들고 있어 추가로 철수를 해야 할지 고민스럽지만 일시적으로 철수했다가 상황이 호전되면 다시 현장으로 복귀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철수 방법은 리비아가 비행금지구역으로 설정된 만큼 비행기보다는 선박이나 인근에 대기 중인 최영함을 이용하는 방안이 유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리비아에는 트리폴리 31명, 벵가지 20명, 미수라타 10명 등 총 78명의 건설근로자들이 현장관리 등을 위해 체류하고 있다. 업체별로는 대우건설 51명, 현대건설 11명, 한일건설 7명, 한미파슨스 3명, 기타 6명 등이다.

↑다목적군의 리비아 공습이 계속되는 가운데 지난 23일 오전 서울 미국대사관 앞에서 반전평화연대 회원들이 다목적군의 리비아 폭격 규탄 시위를 갖고 있다. ⓒ이명근 기자↑다목적군의 리비아 공습이 계속되는 가운데 지난 23일 오전 서울 미국대사관 앞에서 반전평화연대 회원들이 다목적군의 리비아 폭격 규탄 시위를 갖고 있다. ⓒ이명근 기자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