駐리비아 대사관 폐쇄하지 않는 이유는?

머니투데이 송정훈 기자 2011.02.28 16:59
글자크기
“우리 대사관 직원들은 끝까지 남아 국민의 안전을 책임져야 한다”(이명박 대통령 28일 수석비서관 회의)

우리 정부가 다른 주요국들과 달리 리비아에서 대사관을 철수 시키지 않기로 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자국민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는 관측과 함께 내심 늦장 대처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는 데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28일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주리비아 한국대사관은 현재 폐쇄 조치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교민들이 리비아에서 완전히 철수한 이후 대사관 폐쇄 여부를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급박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주리비아 한국대사관을 철수시키지 않겠다는 것이다.



반면 유엔 안보리의 리비아 제재안 결의를 주도한 미국과 일본에 이어 영국, 프랑스, 캐나다, 슬로바키아 등의 국가들은 리비아 대사관을 잇따라 폐쇄할 예정이다. 교민들이 완전히 철수하지 않은 상황에서 대사관을 폐쇄하는 것이다.

일단 정부가 주리비아 대사관을 폐쇄하지 않는 것은 국민들의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데 따른 것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있다. 특히 그 동안 교민 철수에 소극적이던 국내 대형 건설사들이 직원들을 대거 철수시키고 있지만 필수인력을 여전히 잔류시킨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게 주된 요인이다.



실제로 현재 리비아에 잔류하고 있는 교민과 근로자 등 한국인은 대략 500여 명이며 이 중 대부분이 주재원 등 근로자다. 교민들은 이미 상당수가 전세기를 이용해 리비아를 떠났기 때문이다.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내부 지침에 따라 현지 대사관에 우리 교민들과 근로자들이 모두 안전하게 철수할 수 있도록 노력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며 "현재 분위기는 국내 건설사의 필수 인력이 모두 철수한 뒤 대사관 폐쇄를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리비아 사태 발생 이후 정부의 늦장 대처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의 전세기 투입 지연 등 교민 안전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을 염두에 둔 조치라는 것이다.


리비아 현지에는 그 동안 정부의 전세기 투입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늦춰지면서 교민 안전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정부가 국적기 투입을 고려하지 않다 뒤늦게 국적기 투입을 결정한 것도 이러한 관측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한 당국자는 "정부가 최근 해외에서 크고 작은 사건, 사고가 잇따르자 대국민 보호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다"며 "국민 보호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