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논란…野도 충청 vs 호남 내홍

머니투데이 양영권 기자 2011.02.07 13:46
글자크기

충청권 유치 당론에 호남 의원들 거세게 반발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문제는 야당 내부에서도 뜨거운 감자다. 당 차원에서 과학벨트 입지로 충청권을 못 박은 데 대해 광주·전남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의원들과 해당지역 지방자치단체장이 공개적으로 반발하면서 내홍이 격화되고 있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오는 8일 민주당 소속 광주·전남 국회의원들과 함께 국회에서 '과학 벨트 광주유치를 위한 대토론회'를 연다. 광주 서구을이 지역구인 김영진 민주당 의원은 이날 토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과학벨트 광주 유치를 지원하는 내용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이같은 움직임은 과학벨트는 충청권에 조성한다는 당론에 정면으로 위배된다. 민주당은 지난해 12월8일 한나라당이 예산안을 단독 처리하면서 과학벨트 입지를 명시하지 않은 국제벨트 특별법을 의결하자 같은달 30일 정책의원총회를 열어 과학벨트 입지를 충청권으로 명시한 법 개정안을 당론으로 확정했다.
↑1월17일 충북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을 위한 추진협의회 발대식.ⓒ사진=대전시청↑1월17일 충북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을 위한 추진협의회 발대식.ⓒ사진=대전시청


손학규 대표는 지난달 26일 충북 청주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충청권에 조성하겠다고 한 약속과 당론을 지키겠다"면서 당론 고수 입장을 확인했다. 또 광주 지역에 대해서는 "정권교체를 위해 민주당의 주인인 광주가 대국적 견지에서 충청을 크게 안아 달라"면서 이른바 '호남 양보론'을 폈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달 31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김영진 의원이 당론에 이의를 제기하고 여기에 변재일, 박병석 의원 등 충청권 의원들이 반발하면서 당내 갈등은 표면화됐다.



김영진 의원은 머니투데이와의 통화에서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를 특정지역으로 못 박은 당론 추진 과정이 신중하지 못했다"며 "과학기술 측면에서 최적의 인프라를 갖춘 광주·전남 지역이 당론에 의해 배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광주시당은 충청권 유치를 규정한 당론에 대해 뚜렷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광주시당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재균 의원은 "(당론을 고수할지는) 의원들을 만나서 더 논의해봐야 할 사안"이라며 말을 아꼈다. 과학벨트와 관련해 당이 대정부 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당내 이견이 부각되는 데 부담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대전 서구갑의 박병석 의원도 "이미 당론이 결정됐고 당 지도부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며 "호남 지역과의 대립각은 더 이상 불필요하다"고 말했다.
↑1월 28일 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에서 열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호남권 유치 설명회 ⓒ사진=김영진 의원실 ↑1월 28일 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에서 열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호남권 유치 설명회 ⓒ사진=김영진 의원실
충청 지역은 과학벨트 입지가 초미의 관심사인 데 반해 호남 지역 유권자들은 관심도가 떨어져 내홍이 조기에 수습될 수 있다는 관측도 일부에서는 나온다.


김재균 의원은 "이번 설 연휴 때 지역구민들과 얘기를 나눠 보면 시민들은 아직 과학벨트가 무엇인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며 "광주시와 정치권에서만 논의가 되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