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함바집 수사 촉각…"선정기준 점검"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2011.01.11 07:38
글자크기
ⓒ윤장혁ⓒ윤장혁


국내 건설사들이 '건설 코리아'를 알리며 국위를 선양하고 있는 해외건설현장, 특히 중동 및 중남미 등의 현장은 대부분 오지다. 한국식당은 꿈도 꾸지 못할뿐더러 도시로부터 식당을 유치할 수도 없는 현장이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열사의 모래밭에서 일하는 직원들에게 소홀한 음식을 제공할 수도 없다. 그런 점에서 해외현장의 식당은 직원들에게는 '제2의 집밥 제공처'로 여겨질 만큼 소중한 곳이다.



국내 현장도 상황은 비슷하다. 도심현장은 물론이거니와 외곽현장도 식당(함바집)은 건설현장 직원들에게 필수적인 시설이다. 식사시간을 아껴 한낮에 토막잠이라도 자려면 현장에 붙어있는 함바집이 단연 최고다.

이처럼 건설현장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시설인 함바집이 '전방위 로비' 대상으로 부상했다. 함바집 운영권을 명목으로 중간에 브로커가 끼어 함바집 운영자와 건설현장을 엮어주더니 더 나아가 청탁을 받고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전 경찰청장과 청와대 감찰팀장까지 수사를 받는 지경에 이르렀다.



건설업계는 함바집 로비의 핵심 인물인 브로커 유모(65)씨의 행적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 건설사들이 함바집 운영업자를 선정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대형건설사들은 자재업체나 하도급업체 등의 협력업체 선정과 마찬가지로 업체를 등록한 뒤 입찰을 통해 선정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일부 건설사들은 노조가 직접 운영하기도 한다. 직원모임인 사우회가 경쟁입찰을 거쳐 사업자를 선정하는 곳도 있다. 노조가 운영하는 경우 수익금이 노조 활동비로 사용되고 사우회는 수익사업의 일환으로 회사가 용인해 주는 경우다.

최근의 로비사건은 건설현장에서 함바집 운영권을 놓고 더 높은 의사결정 단계까지 올라가면서 발생한 것이다.


건설업계는 로비대상이 사정당국이나 정치권까지 확산됐다는 점에서 상상을 초월했다는 반응이다. 그동안 문제가 된 사례의 경우 현장책임자나 대부분 발주처가 개입된 정도였다. 즉 편의상 발주처 요구를 들어줘 왔다는 것이다.

건설업계는 관련 비리 수사 상황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면서도 내부적으론 업체 선정기준을 명확히하거나 운영상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고 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몇 년 전만해도 함바집 사업자 선정이나 운영은 본사와 상관없는 현장 소관이었지만 문제가 불거지면서 본사가 컨트롤하기 시작했다"며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이 정도 규모의 로비사건으로 번질 줄은 상상도 못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