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살아남으면 강자"..시장재편 가속

머니투데이 김유경 기자 2011.01.06 15:04
글자크기
금융지주사의 저축은행 인수 시도로 저축은행 업계 재편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이번 기회에 저축은행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분위기다.

6일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산업 전체가 재편될 수 있다"며 "규제 수준을 높이고, 주주가 바뀌는 등 환경여건이 건전하게 변화되면 업무 범위도 바뀔 수 있다"고 밝혔다.



대주주 적격성 심사 강화, BIS비율 등 재무건전성 기준 강화 등을 충족하면서 위기를 극복하면 이후 업계에 '인센티브'를 줄 수도 있다는 말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그동안 저축은행이 서민금융으로서 역할을 하지 못했고, 지배구조의 후진성과 리스크관리의 한계 등으로 근본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했다"면서 "금융지주사들이 자산규모면에서나 지주사간 정보공유, 규모의 경제 등의 강점을 보유하고 있어 저축은행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축은행들은 일단 시중은행들의 소방수 역할에 대해 반기는 분위기다. 어쨌든 급한 불은 끌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A저축은행장은 "영업이익이 없고 BIS비율이 5% 미만인 곳은 바로 짝짓기(인수합병)를 해야 한다"며 "시중은행이 나서서 십시일반으로 부실저축은행을 하나씩 맡게 되면 리스크를 사전에 막을 수 있어 시장 안정화가 빠를 것"이라고 말했다.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니다. 부동산 담보 여신 한도 축소 등 저축은행에 대한 금융당국의 규제가 높아지는 가운데 자본력과 인프라를 내세워 저금리 상품을 내놓을 수 있는 대형 시중은행이 들어올 경우 업계 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는 탓이다.


A저축은행장은 "정말 어려운 싸움이 될 것"이라며 "기존 저축은행들은 소형화 하거나 차별화하거나 둘 중 하나를 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지주사들의 주가 하락과 관련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 105개 자산규모를 다 합해도 86조원에 불과해 금융지주의 자산규모를 생각하면 시장에서 단기 오버액션을 취한 것"이라며 "저축은행 인수에 큰 자금이 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