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차량정체 줄이는 아스팔트 개발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2010.12.26 11:00
글자크기
앞으로 아스팔트 제조온도를 현재보다 30℃ 낮춰 석유연료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차량 지정체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

국토해양부는 아스팔트 제조온도를 30℃ 낮춰 130∼140℃ 온도범위에서 생산·시공할 수 있도록 한 '저탄소 중온 아스팔트 포장공법의 생산 및 시공지침'을 마련했다고 26일 밝혔다.



현행 일반국도 도로포장에 적용하고 있는 아스팔트 포장은 160∼170℃의 고온에서 생산되는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2억6000만ℓ의 벙커-C유 등 석유계 연료를 사용, 80만톤의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기준 개발로 아스팔트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춤에 따라 2억6000만ℓ의 벙커-C油 중 30%인 7800만ℓ을 절약하고 이산화탄소 30만톤 발생을 저감할 수 있게 됐다. 이는 탄소 배출권 60억원, 소나무 6000만그루의 식목효과를 갖는 것이다.



국토부는 저탄소 중온 아스팔트 포장의 보급 및 조기 확대를 위해 세부적인 활성화 대책을 마련, 도로 건설에 본격 적용할 계획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