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고성장' 베트남 신용등급 '강등'… 뭔 일?

머니투데이 안정준 기자 2010.12.16 13:49
글자크기

무역적자+물가압박, 발전 모델 한계 봉착 지적도

베트남 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무역수지 적자와 물가압박 등 고질적 문제 누적으로 결국 국가신용등급이 연이어 하향 조정되는 수모를 맛보고 있다. 한 때 사회주의 개혁개방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15일 베트남의 국가신용등급을 기존 'Ba3'에서 'B1'로 한 단계 강등했다. 무디스는 베트남 신용전망을 '부정적'으로 제시, 추가 강등 가능성도 열어뒀다. 앞서 지난 7월에도 등급 하향조정이 있었다. 당시 피치는 베트남의 신용등급을 기존 'BB-'에서 'B+'로 내렸다.



무디스와 피치가 베트남에 부여한 신용등급은 투자적격등급에서 4단계 아래다. 몽골, 스리랑카등과 같은 수준이다.

물론 최근 경제 성장률을 고려하면 베트남 경제가 신용등급 하향조정을 당할 만큼 악화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지난 3분기 베트남의 국내총생산(GDP)은 7.16%를 기록했으며 정부는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6.7%, 7.5%로 제시했다. 중국과 인도에 맞먹는 성장속도다.



하지만 급증하는 무역적자와 인플레이션 압박으로 속병을 앓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무디스와 피치가 등급 하향을 결정하며 지적한 베트남 경제의 가장 큰 문제 역시 무역적자와 인플레였다.

특히 무역적자 누적은 수출 주도형 아시아 경제권에서 유독 베트남에만 두드러지는 고질적 문제다. 전문가들은 올해 베트남의 무역적자 규모가 120억달러에 육박해 GDP 대비 10%를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본다.

무역적자 누적으로 기존 인플레 압박도 더욱 가중된다. 베트남은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올해만 모두 두 차례 걸쳐 자국 통화인 동화를 달러 대비 5.2% 평가절하했다. 일각에서는 내년에도 동화가 5% 가량 추가 절하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동화를 절하하자 수입물가가 상승하는 역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렇지 않아도 심각한 인플레 압박이 더욱 커졌다는 평가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시기 대비 무려 11.09% 뛴 것으로 확인됐다. 4% 수준이었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물가는 급격한 속도로 뛴 것이다. 정부는 올해 8% 수준의 물가 목표치를 제시했지만 사실상 실현 불가능해졌다는 평가다.

성장 위주의 베트남 식 경제 발전 모델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베트남은 그동안 대규모 외국인 직접투자(FDI)를 촉진하고 정부 대출을 늘리는 방법으로 빠른 경제 성장속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지난해 기준으로 FDI가 베트남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으며 정부 대출은 매년 30%이상의 연간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 같은 성장 위주의 정책으로 인플레 압박이 관리 불가능한 수준으로 치달았다. 특히 FDI 확대는 오히려 자국 수출 둔화와 무역적자 가중으로 연결됐다는 평가다. 베트남에 투자하는 해외자본 대부분은 값싼 노동력만 노릴 뿐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에 대한 투자는 피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전반적 경제 불안감 누적으로 FDI 마저 감소하는 추세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올해 1~11월 베트남의 FDI는 133억달러를 기록, 지난해 같은 시기 대비 40% 가량 줄어들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