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신건 의원이 밝힌 '신한사태'의 전모

머니투데이 신수영 기자 2010.10.22 11:27
글자크기

"신한사태, 이백순 행장이 준비한 하극상"?

'신한사태'가 이백순 신한은행장의 치밀한 계획 아래 진행된 하극상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 행장이 신상훈 신한지주 (47,850원 ▲400 +0.84%) 사장이 라응찬 회장의 차명계좌 문제를 한나라당에 제공했다고 의심, 신 사장을 고소하는 이번 사태를 주도했다는 것이 주장의 요지다.

신건 민주당 의원은 22일 금융위·금감원을 대상으로 한 종합 국정감사 자료에서 "신한은행 내부에 이상한 분위기가 감지되기 시작한 것은 한나라당 의원이 라 회장의 차명계좌 분제를 거론한 뒤부터"라며 이 같이 주장했다.



신 의원의 자료에 따르면 이번 신한사태가 불거진 전말은 이렇다. 먼저 이 행장 등은 차명계좌에 대한 정보를 신 사장이 한나라당 의원에 제공했다고 의심하기 시작, 지난 6월부터 시내 모처의 P호텔에 T/F팀을 만들어 운용하면서 모종의 전략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이어 7월1일자로 신 사장의 비서실장을 중국 지점의 부지점장으로 발령내는 등 신 사장 측 사람에 대한 인사 조치를 시작했다. 아울러 이 행장이 경제지 기자 등에게 이 같은 의심을 담은 발언을 하며 이상한 분위기가 감지됐다는 것이다.



사태가 발생한 9월2일에는 이백순 행장이 갑자기 신상훈 행장을 찾아 '사표를 내든지 아니면 고발을 당하든지 알아서 하라'며 사퇴를 종용했고, 신 사장이 이를 거부하자 당일 바로 신 사장을 고소했다는 주장이다.

이사회 일정 등을 감안할 때 고소와 동시에 이사회를 소집한 것이며, 이는 미리 치밀히 준비해서 진행한 증거라고 신 의원 측은 밝혔다.

검찰 조사도 9월 2일에 고소, 9월 4일 금융조사부에 사건배당, 9월 5일에 수사착수 등 신속히 이뤄졌는데 은행내부에서는 이 행장이 4월경 라 회장과 동향인 검찰고위간부와 만나 사전 조율을 했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신 사장 고소 다음날인 9월 3일 도쿄지점으로 발령 난 전 비서실장이 라 회장에게 신 사장이 횡령했다며 고소한 15억을 회장도 함께 사용했다는 사실을 전하는 등 허점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당시 이 얘기를 들은 라 회장이 놀라 이 행장을 질책했으며, 해당 비서실장도 다음 날 급히 귀국, 이 행장을 만나 '그(자문료) 중 3억원은 이 행장이 가져가지 않았느냐'는 점을 지적했다고 신 의원 측은 전했다. 이에 이 행장이 라 회장은 오래 했고 이제 우리가 같이 하자는 식으로 회유했으나 해당 비서실장이 거부했다는 주장이다.

신 의원은 자료에서 "일련의 과정을 볼 때 이백순 행장이 얼마나 치밀하게 준비했는지 분명하게 드러난다"며 "라 회장이 초기 신 사장을 제거하는데 동의했는지 여부는 확인할 수 없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이 행장에게 이용당한 것으로도 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신 의원은 "신 사장의 불법행위 여부는 검찰 수사를 통해 밝혀지겠지만 신한은행 전체가 혼란해 진 것은 이렇게 이 행장이 신한은행을 장악할 음모로 치밀하게 일을 벌였기 때문"이라며 "정기 검사 시 이 행장의 불법행위는 물론, 조직전체를 위기로 몰아넣은 행적에 대해서도 면밀히 조사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이 행장이 자문료 15억 중 3억원을 정권 실세에 전달한 의혹과 재일교포 주주들로부터 실권주 배당 대가로 5억원을 수수한 의혹 등이 실정법을 위반한 혐의라며 금감원이 11월 정기 검사 시 정밀 조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