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연차총회서도 부각된 '환율전쟁'

머니투데이 뉴욕=강호병 특파원,워싱턴DC=김경환 기자 2010.10.08 05:22
글자크기

스트로스-칸 총재 회의 앞두고 "환율전쟁 경고" 그러나 위안화 절상 필요성 인정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 연차총회에서도 '환율전쟁'(Currency war)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IMF-세계은행 연차총회(8~10일)를 앞두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주요국들의 외환시장 개입으로 '환율전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환율을 무기(Weapon)로 여겨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스트로스-칸 총재는 "'환율전쟁'은 군사적 표현"이라며 "많은 국가들이 자국 환율을 무기로 여기고 있지만 이는 글로벌 경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위안화 절상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 글로벌 환율 전쟁 격화=칸 총재의 발언처럼 글로벌 외환시장 무대에서는 이미 '환율전쟁'이 격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엔/달러 환율이 80엔대를 위협하자 엔화를 매도하면서 6년 만에 처음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했다. 일본의 외환 시장 개입을 계기로 아시아와 남미 국가들이 자국 통화 강세에 대해 불만을 표명하고 나섰다.



귀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은 지난달 27일 '환율전쟁'을 경고하며 브라질 정부는 자국 헤알화의 평가절상을 막기 위해 시장에서 모든 가능한 수단을 동원해 달러를 매입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중국도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에 굴복하지 않을 것임을 수차례 표명하면서 스스로 속도에 맞춰 평가절상에 나설 것임을 밝히고 있다.

◇G20 서울회의 '환율전쟁' 격전장 우려=일각에서는 오는 11월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석상이 '환율전쟁'의 자리가 될 것이란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이 경우 우리 정부가 주창하고 있는 '코리아 이니셔티브'(글로벌 금융안전망)는 주요 관심권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지속가능하고 균형 성장을 위한 프레임워크'가 이번 회의에서 구체적 성과로 내기 위해 다뤄질 예정 인만큼 환율 논의는 피해갈 수 없을 전망이다.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는 지난해 피츠버그 정상회의의 성과를 이어 개별 국가에 대한 프레임워크 해법을 제시하게 된다. 선진흑자국, 선진적자국, 신흥흑자국, 신흥적자국 등으로 나뉘어 개별국에 맞춤 정책적 처방을 내리게 된다.

큰 틀은 무역 흑자국에는 내수를 끌어올리고 환율절상을 제시하는 반면 무역적자국에 대해서는 저축을 늘리는 정책대안을 제시해 불균형을 해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원화 절상 압력이 제기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서울 정상회의에서 개별 국가 통화를 논의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데이브 캠프 미국 공화당 의원은 "윤 장관의 발언은 적절치 못했다"고 곧바로 반박했다. 그만큼 환율 논의의 장의 될 가능성이 크다.



◇ IMF 총재 "위안화 절상해야"=스트로스-칸 총재는 위안화 절상 필요성도 인정했다.

그는 "현재 중국의 경제정책은 옳은 방향으로는 가고 있지만 중국 위안화의 저평가는 글로벌 경제에 긴장의 근원이 되고 있다"며 "중국과 같은 거대 신흥국가들이 IMF내에서 발언권 확대를 요구하고 있으나 발언권 확대는 글로벌 경제에 대한 더 큰 책임과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언급했다.

칸 총재는 그러나 1980년대의 플라자합의나 루브르합의가 재연될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했다. 플라자 합의란 G5(프랑스·독일·일본·미국·영국) 재무장관들이 1985년 뉴욕 맨해튼 플라자호텔에서 일본 엔화와 독일 마르크화 평가절상을 결의한 조치다. 80년대초 달러당 300엔 수준이던 엔화가 이 회담을 계기로 100엔 이하로 3배로 가치가 올랐다.



한편 칸 총재는 금융위기와 글로벌 경기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한 국가간 협조체제의 정신이 다소 퇴색하고 있다면서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 글로벌 위기를 해소할 수 없다"며 공조 노력의 복원을 촉구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