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銀, 용산역세권 개발 '손 뗀다'

머니투데이 김창익 기자 2010.10.05 07:45
글자크기

사업성·PF 주간사 자격 불투명, 시행사 드림허브 지분 2%(200억 원) 매각 방침

민영화 앞두고 무수익 자산 관리 차원도

우리은행이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에서 손을 떼기로 했다. 시행사인 드림허브에 재무적투자자(FI)로 200억 원을 투자했지만 프로젝트파이낸싱(PF) 주간사 자격이 불투명하고, 사업이 무산될 경우 투자원금마저 날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4일 금융권과 용산역세권개발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드림허브 지분 2%(200억 원)를 매각할 방침이다.



우리은행은 2007년 말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자 선정 시 삼성물산-국민연금 컨소시엄에 FI로 참여했다.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 자본금은 총 1조 원으로 지분 1%당 출자금은 100억 원이다.

금융권 FI는 KB자산운용(지분율 10%), 푸르덴셜(7.70%), 삼성생명(3.00%), 우리은행(2.00%), 삼성화재(0.95%) 등의 순으로 FI 지분은 총 23.65% 투자금액은 총 2365억 원에 달한다.



우리은행이 용산 사업에 참여한 주목적은 PF 대출시 주간사 자격을 따내기 위해서다. 사업 성과에 따른 배당금도 있지만, 대출은행 성격상 투자수익보다는 대출 이자와 주간사 수수료 수익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보통 주간사의 경우 PF 대출 총액의 1%를 수수료로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용산의 경우 분양 상황에 따라 PF 금액이 10조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수수료 수익만 1000억 원을 넘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은행들은 FI 참여시 계약서에 PF 주간사 선정과 관련된 이점 사항을 명기하는 게 일반적. 업계 관계자는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의 경우 경쟁이 치열해 PF 주간사와 관련해 약정된 사항이 전무하다"고 말했다.


계약대로면 우리은행은 용산역세권개발 사업 PF 주간사 선정시 다른 은행들과 동등한 자격으로 참여해야 한다.

특히 금융당국이 PF 부실 문제의 악화를 막기 위해 PF 모범 규준을 마련하는 등 감독기준을 강화하고 나서면서 추가 PF 대출에도 신중을 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우리은행의 경우 PF 대출 잔액은 현재 8조4000억 원에 달할 정도로 익스포져가 큰 상황이어서 사업성이 불투명해진 용산 사업에 대한 대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런 가운데 드림허브가 코레일에 대한 땅값 상환을 위해 유상증자 등에 나설 경우 지분에 따라 증자에 참여해야 하는 추가 부담이 생긴다. 우리은행 입장에선 사업성 자체도 문제지만 PF 주간사 선정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용산 사업에 추가 투자할 이유가 없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주간사 선정시 사업성을 따져 참여할 것"이라면서도 "드림허브 지분은 인수희망자가 나설 경우 매각처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용산역세권개발의 사업성이 불투명해지면서 매수 희망자가 나설지는 미지수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이 좌초 위기에 처하면서 이미 투자한 200억 원 투자자금에 대한 수익성은 물론 원금 회수 여부도 불투명해졌다. 우리은행 입장에선 적어도 사업완료 시점인 2016년 전까지 200억 원을 무수익자산으로 묻어둬야 하는 셈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우리은행의 경우 민영화를 앞두고 수익구조에 특히 신경을 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200억 원이 큰 돈은 아니지만 우리은행 입장에선 수익성 관리차원에서 처리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은 서울 용산구 한강로 3가 일대 56만6800㎡(17만1457평)의 부지에 연면적 317만㎡(95만8925평)에 달하는 오피스 빌딩과 아파트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2016년 12월 완료 예정으로 사업규모가 총 31조원에 달한다.

드림허브 대주주이자 땅 주인인 코레일이 땅값 미지급액 7010억 원에 대해 17개 건설투자자들에게 지급보증을 요구하자, 삼성물산이 이를 거부하면서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삼성물산은 드림허브 자산관리위탁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에 대한 지분 45.1%(13억5300여 만원)을 롯데관광개발에 양도하고 경영권을 포기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