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장관 "입학사정관제 속도조절"

머니투데이 최중혁 기자 2010.09.27 10:00
글자크기

"양적 팽창보다 질적 내실화 기하겠다"

최근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에 대한 우려가 계속 제기되자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속도조절 방침을 밝혔다.

이 장관은 지난 26일 KBS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 "지금은 입학사정관제의 양적 팽창보다는 질적 내실화를 기해야 하기 때문에 지원 대학을 현재 60개에서 내년도에 더 늘리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60개 대학을 유지하면서 부작용이 나타난다든가 기존 취지에 역행해 특목고 학생만 뽑는 대학이 있다든가 하면 과감하게 퇴출시키는 식으로 강하게 입학사정관제를 안착시키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학생구성을 다양화하는 쪽으로 입학사정관이 역할을 많이 하도록 내년도 대학을 지원할 때 학생다양성 지표를 만들어 높은 학교에 더 우대해서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특목고 학생만 골라 뽑는 대학에 불이익을 주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 장관은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 문제가 계속 제기되는 원인에 대해 "몇몇 사립대학들이 글로벌인재전형, 과학인재전형 등 과거 특목고 학생들을 주로 뽑던 전형을 입학사정관제로 변화시키면서 그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에 이 장관은 "올초 입학사정관제 공통기준을 마련하면서 학생구성의 다양성을 지향해야 하고 너무 특목고 중심으로 뽑는 것은 안 된다는 점을 명백히 포함시켰다"며 "앞으로는 (특목고 중심 선발이) 최소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양한 계층의 아이들을 뽑아 서로 배우게 하는 대학이 좋은 대학"이라며 "성적만으로 뽑는 게 아니라 학생구성을 다양화하는 쪽으로 입학사정관제를 정착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수능 개편안 및 내신 절대평가 전환 문제와 관련해서는 "수험생의 부담을 줄이려는 게 가장 큰 취지"라고 이 장관은 설명했다. 그는 "절대평가를 하면서 내신 부풀리기가 없으면 가장 이상적"이라고 전제한 뒤 "수능이 전체 입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줄이고 내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입시제도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