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재건축 1주못간 '8·29'…목동 "기자만 문의"

머니투데이 장시복 기자 2010.09.05 15:08
글자크기

1주일 안돼 다시 냉랭… "상한제 폐지 등 굵직한 정책 발표안된 것도 이유"

"매수세가 도저히 안 붙는데 호가라도 내려야지 어쩔 도리가 있겠습니까." (강남구 개포동 K공인)

정부의 8·29 대책 발표 이후 매도자들이 일부 호가를 올리며 잠시나마 훈풍이 부는 듯 했던 강남권 재건축 단지가 1주일도 안돼 발표 전의 냉랭한 분위기로 돌아갔다. 일단 추석 연휴 이후를 두고 봐야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대책의 약발이 이미 다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5일 강남권 중개업계에 따르면 대책 발표 이후 호가가 7억7000만~7억8000만원으로 1000만~2000만원 올랐던 개포주공 1단지 43㎡(이하 공급면적)는 이날 현재 7억6000만~7억6500만원으로 다시 500만~1000만원 내렸다.



인근 K공인 관계자는 "대책 발표 이후 집주인들이 기대감에 호가를 일부 올렸지만 아직은 '바닥'이 아니라고 판단한 매수자들이 관망하고 있어 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호가는 내려가고 있는 중"이라며 "오히려 앞으로 있을 지구단위계획 발표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개포동의 H공인 관계자도 "일단 이번 대책에선 강남3구가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 대상에서 제외됐기 때문에 이전과는 달리 비강남권 지역에서 온기가 달아오르면 강남으로까지 전이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송파구의 대표적인 재건축 단지인 잠실 주공 5단지도 상황은 비슷하다. 102㎡의 경우 대책 발표 이후 호가가 1000만~2000만원 올랐다가 1주 만에 오히려 2000만~3000만원 내린 10억8000만~10억9000만원짜리 매물이 나왔다.

다만 대치동 은마 아파트의 경우 102㎡와 112㎡가 한달 동안 3000만~4000만 오르면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8·29대책 때문이라기 보단 정비계획 발표에 따른 효과라는 게 현지 업계의 시각이다.

이밖에 이번 대책의 수혜지로 꼽혔던 목동·분당 등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목동의 M공인 관계자는 "대책 발표 후 문의가 늘었다는데 주로 기자들 문의였을 정도로 큰 변화는 못느낀다"며 "DTI 완화 시행이 된지 얼마 안됐고 추석 연휴가 남아있어 조금 더 지나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신규 청약 시장도 8·29 대책 효과를 누리지 못했다. 대책 발표 이후 첫 민간 청약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은 '용산 더 프라임' 주상복합 아파트는 인기 입지에 저렴한 분양가를 내세웠지만 3순위에서도 0.66대 1로 미달 사태를 겪었다.

스피드뱅크 이미영 팀장도 "수도권 미분양 주택에 대한 양도세 감면이나 분양가상한제 폐지 같은 분양시장에 영향을 미칠 굵직한 정책들이 발표되지 않은 점도 시장이 한산한 이유"라며 "건설업계는 분양 시기를 늦추고 시장을 살피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