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지주 상생경영에 2200억 쾌척한 이유는?

머니투데이 신수영 기자 2010.08.05 13:13
글자크기

[현장클릭]대대적 상생 경영 발표…'뒤지면 안된다'

신한금융그룹이 금융권에서는 처음으로 대대적 상생경영 계획을 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선도 금융회사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취지이지만 정부의 '친서민과 상생' 정책을 지나치게 의식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없지 않습니다.

지난 4일 신한금융은 3년간 총 2200억원을 들여 그룹차원의 대대적인 '상생경영'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에는 '미래희망펀드'를 만들어 신한금융 채용박람회에서 취직에 성공한 구직자에 3년간 원금만 1080만원 어치 적금을 지원하는 등 파격적 방안이 담겼습니다.

이밖에도 중소기업에 시설자금대출 2조1000억원 저리 지원, 저소득층 은행 거래 수수료 면제, 희망대출 금리 최대 0.1% 인하, 소멸포인트 기부, 미소금융 출연기금 확대, 각종 사회공헌 활동 등이 포함됐습니다.



사실상 금융회사가 해볼 수 있던 대부분의 방안이 포함됐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중소기업 구직자에 실질적으로 월급을 보존해줘 일자리 창출까지 신경 쓴 것은 이례적인 방안입니다.

지금까지 금융권의 '상생'이라면 다른 기관 등과 함께 펀드 등을 만들어 중소기업에 저리대출을 해주는 일이 대부분이었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이 같은 상생 펀드는 신한은행은 물론 우리은행 기업은행 등 많은 은행들이 2년 전 앞 다퉈 만든 적이 있습니다.

이례적인 대책을, 그것도 갑작스레 내놓다 보니 일부에선 '정부에 잘 보이려 그러는 것이 아니냐'는 곱지 않은 시선도 보내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서민금융지원은 물론 '일자리 창출'을 두고 은행권을 압박하기 시작한 게 불과 며칠 전의 일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다 하고 있는 일을 신한지주가 생색내고 있다"며 "돈 많이 버는 기업으로서 당연한 일"이라고 꼬집었습니다.


미처 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후발주자의 푸념일 수도 있지만, 그렇게 넘어가기에는 신한지주를 둘러싼 상황이 다소 껄끄러운 것도 사실입니다.

신한금융 역시 이날 보도 자료에서 "최근 정부에서 강조한 중소기업 상생 유도와 서민경제 안정의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며 정부 시책에 부응하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신한으로서는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며 억울해할 것입니다. 정말 어렵게 결단을 내렸는데, 충심(衷心)을 제대로 알아주지 않는다는 겁니다. 그렇지만 3년간 2200억원이란 큰 금액을 지원하는 일에 대해 주주들의 동의조차 없이 서둘러 추진했다는 느낌을 떨치기 어렵습니다. 정부도 아닌 금융회사가 중소기업에 직접 직원 급여를 제공할 수 있느냐에 대한 문제도 남습니다.

최근 들어 삼성전자 (81,500원 ▼100 -0.12%), 현대·기아차 그룹 등이 잇달아 협력업체와의 상생경영을 선언한 상황입니다. 보고만 있었던 금융권에서도 신한지주가 중소상생·친서민경영에 앞장선 것은 반가운 일입니다.

신한금융이 이번 선언이 정치적 판단이나 정부 눈치 보기가 아닌, 선도 금융사로서의 모범을 보이는 사례로 정착되기를 바랍니다.

신한지주 차트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