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외환銀, 누구 품에 안길까

머니투데이 오상헌 기자 2010.07.26 10:36
글자크기

[[2010 금융강국 코리아] < 4부 > 메가뱅크 3-②은행권 M&A 어떻게]

올해 금융업계 최대 이슈인 은행권 재편의 중심엔 우리금융 (11,900원 0.0%)지주와 외환은행 (0원 %)이 있다. 우리금융 민영화와 외환은행 매각 결과에 따라 국내 은행산업의 경쟁 구도가 완전히 새롭게 짜인다.

우리금융은 현재 정부가 지분 56.97%를 보유하고 있다. 10년 전 외환위기(IMF) 때 공적자금을 투입해 사실상 정부 소유 은행이 됐다. 민영화란 곧 정부 지분을 민간에 되파는 작업이다. 정부로선 국민 혈세인 공적자금을 회수하고, 우리금융 입장에선 '관치'를 벗어나 비로소 진짜 시중은행이 된다는 의미가 있다.



우리금융 민영화는 사실상 이달 말부터 시작된다. 정부는 두 차례나 발표를 미룬 끝에 이달 안에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공개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정부가 처음에 생각한 건 지배지분을 통으로 매각하는 방식이었다. '경영권 프리미엄'이 붙어 공적자금을 최대한 거둬들일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이미 접었다. 우리금융을 살 만한 자본력이나 자격을 갖춘 인수자가 없어서다.

그래서 정부가 생각해 낸 게 △지분 분산매각 △블록세일 △단순합병 △일부 매각 후 합병 등 4가지다. 정부는 지금의 시장 여건에선 이들 외엔 우리금융을 민간에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본다. 정부는 민영화 로드맵 발표 후 매각 주간사를 통해 인수자들이 낸 인수 방식을 검토해 민영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우리금융 민영화를 "시장에 맡긴다"는 게 정부의 생각이다.



금융권이 가장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건 '합병' 방식이다. 우리금융과 다른 금융지주를 합치면 은행권 재편이 가능해 지기 때문이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완 거리가 있지만 '금융산업 발전'이란 명분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 입장에선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최근에 지분 일부를 먼저 매각해 정부 보유 주식을 적게한 뒤 합병시키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가장 근접한 합병 대상은 하나금융지주가 꼽힌다. 얼마 전까진 KB금융지주가 더 가능성이 커 보였다. KB금융(자산 325조6000억원)과 우리금융(자산 325조4000억원)을 합하면 총자산 650조원 규모의 세계 30위권대 '메가뱅크'(초대형은행)가 탄생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어윤대 KB금융 회장이 우리금융 인수 포기 의사를 밝히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하나금융(자산 192조원)과의 합병은 '특혜 시비'를 낳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부담이다. 그래서 지분을 분산매각해 과점 주주체제로 우리금융을 민영화하는 대안도 거론된다. 우리금융이 가장 선호하는 방식이다.


우리금융 핵심 자회사인 우리투자증권과 지방은행인 경남.광주은행 분리매각도 관심거리다. 우리투자증권의 분리 매각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우리금융이 걱정하는 대로 증권 쪽이 빠지면 우리금융의 시장 가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지방은행은 분리매각 가능성이 크다는 게 중론이다. 경남.광주은행을 분리매각할 경우 우리금융 민영화와 동시에 진행된다.

외환은행(자산 112조원) 매각도 초미의 관심사다. 현재로선 가능성이 적지만 외환은행이 국내 금융지주나 은행에 매각되면 은행권 지각판이 더 요동친다. 금융권 일각에선 '우리금융+하나금융', 'KB금융+외환은행'의 2강 구도를 바람직한 은행산업 경쟁구도로 제시하는 목소리도 있다.



현재로선 국내 금융사 중 외환은행에 관심을 표하는 곳은 특별히 없다. 국내 최대 사모투자펀드(PEF)인 MBK파트너스와 함께 호주뉴질랜드(ANZ)은행이 외환은행 인수전에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