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책발표 연기..건설주 대응방안은?

머니투데이 김지산 기자 2010.07.21 17:29
글자크기

DTI 완화 가능성에 무게.. 그래도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주택 경기 활성화 대책 발표를 소재로 최근 건설주 주가가 상승했지만 발표가 연기되면서 추후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코스피 시장에서 건설업종 지수는 19일 2.5% 상승하고 이후 이틀간 약보합권에서 당초 발표 예정일인 22일까지 관망하자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를 놓고 정부 부처간 이견을 좁히지 못해 발표 시한이 정해지지 않은 채 연기됐다.



현대건설 (32,150원 ▼450 -1.38%)은 19일 4.4% 상승한 뒤 관망세로 돌아서고 삼성물산 (48,100원 ▲2,300 +5.0%)은 3일간 8% 넘게 급등했다. 주택사업 비중이 높은 중소 건설주는 혼란이 예상된다. 남광토건 (6,490원 ▼60 -0.92%)은 한차례 상한가를 포함해 3일 연속 상승하고 벽산건설 (0원 %)도 이틀간 16% 이상 급등했다. 풍림산업 (0원 %)은 21일 조정을 거쳤지만 이전 이틀간 16% 올라 단기 급등 부담이 크다.

증권사들은 대체적으로 보수적으로 접근할 것을 권한다. 정부가 DTI 완화를 피할 수 없을 거라는 견해가 다수지만 9월 건설사 유동성 악화가 예상된다는 의견을 개진하는 등 방어 전략을 펴야 한다는 견해가 많다.



KB투자증권 허문욱 연구원은 "DTI 완화를 한다고 해서 주택가격이 안정화될지 의문"이라며 "DTI 완화에도 시장이 요지부동이면 더 강한 정책을 내놓아야 하고 이후에는 가계 부채 심화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정부도 부담스러워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9월 입주대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주택 사업 비중이 높은 건설사들의 현금 흐름이 악화될 공산이 크기 때문에 투자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대우증권 송흥익 연구원도 DTI 완화 가능성을 내다보면서도 보수적으로 접근할 것을 권했다. 송 연구원은 "정부가 이달 발표를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규제 완화로 방향을 잡을 것으로 관측된다"며 "그러나 당분간 건설주 주가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한화증권 이광수 연구원 역시 "건설주들이 역사적 저점을 지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하반기 변화되는 모습을 확인하면서 매수 전략을 꾸려야 할 것"이라며 "DTI의 경우 왜 발표를 연기했을까를 고민하면서 정책 방향의 코드를 읽어내는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건설 차트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