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상생경영' 확대…올해 3000억 지원

머니투데이 신혜선 기자 2010.07.08 13:18
글자크기

수요예보ㆍ100% 현금결제 3개 관계사 확대...공정위 평가로 검증받을 예정

KT (36,600원 ▲450 +1.24%)가 올해 520여개 협력사들에게 3147억원의 자금을 지원한다. KT 차원에서 실시하던 협력사 현금결제도 KT커머스 등 KT 관계사로 확대 실시한다.

KT는 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이석채 회장과 정호열 공정거래위원장, 522개 협력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같은 내용의 '대중소 상생협력 및 공정거래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 체결은 KT가 지난해 6월 발표한 '협력사 동반성장을 위한 구매제도 혁신 및 상생지원 프로그램 운용'의 연장선상이다. 특히 공정위가 추진하고 있는 대중소기업간 공정거래협약을 체결함으로써 매년 공정위로부터 평가를 받는 등 실천력을 높이기로 했다.

올 협약의 주요 내용은 공정하고 투명한 하도급 거래를 보장하기 위해 공정위가 제시한 3대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마련했다. 또,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도 운영 결과를 반영해 보강했다.



우선 협력사에 대한 상생협력 차원에서 올해 3147억원의 자금을 지원한다. 지난해는 KT가 단독으로 2000억원을 지원했지만, 올해는 KT에서 2500억원, KT 관계사 3곳에서 1000억원을 지원해 총 3000억원 규모의 지원자금을 마련했다.

KT 2500억원, KTDS 50억원, KT커머스 75억원, KT링커스 2억원 등 KT캐피탈과 기타 금융권과 연계해 대출을 지원하는 형식이다. 이와 별도로 520억원 규모의 중소벤처기업 투자 펀드를 운영할 계획이다.

지급조건도 개선한다. 현재 KT만 수행하고 있는 100% 현금결제를 KTDS, KT커머스 등 관계사로 확대한다. 하도급 대금 횟수도 월 3회로 늘릴 계획이다. KT는 지난해 현금 결제한 규모가 총 8595개 기업 대상 1조7572억원이라고 밝혔다.


구매제도의 경우 계약제도 개선을 위해 수요예보제도를 단계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물량감소 예보제를 실시한 후 분기별로 수요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구체화할 예정이다.

기술조사 분야의 경우 7월부터 벤치마킹테스트(BMT) 운용 제도를 효율화할 예정이다. 이달부터 사전평가를 강화해 BMT 탈락사를 최소화하고, 핵심결함이 아니라면 보완기회도 부여할 계획이다. 인터넷망을 이용한 원격평가제도 도입할 계획이다.

이밖에 상생협력 업무 의견을 수렴하고 제도를 안착시키기 위해 '하도급심의 위원회'도 구성할 예정이다.

이석채 회장은 "1년 전 협력사와 동반성장을 위해 추진한 구매제도 개선이나 상생지원 프로그램은 작은 성과를 올렸지만 아직도 개선해야할 점이 많다"며 "특히, 구두로 구매의사를 밝힌 후 실제 물품을 사지 않아 협력사들이 입는 피해가 크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평가했다.

이 회장은 "이번 협약식을 계기로 이런 피해를 줄이며, 협력사가 진정으로 공동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를 계속 개선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KT는 오는 12일 지난해 실시한 구매제도 개선 결과와 올해 추가 제도 개선 계획 및 중소기업 협력방안을 이석채 회장이 직접 밝힐 예정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