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족한' 3차 건설사 구조조정

더벨 길진홍 기자 2010.06.25 19:31
글자크기

[건설사 신용위험 평가]형평성 논란 불씨...발표 늘어져 후유증 예고

더벨|이 기사는 06월25일(15:56)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의 윤곽이 드러났다. 채권은행으로부터 9개 건설사가 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가는 C등급 판정을 받았고, 7곳이 법정관리나 기업정리 수순을 밟아야 하는 D등급으로 분류됐다.



신용위험평가에 운명을 맡긴 건설사와 칼자루를 쥔 채권은행 그리고 감독당국 간에 벌여진 두 달 여 간의 줄다리기가 마침표를 찍었다. 채권은행으로부터 최종 등급 통보가 이뤄진 24일 건설업계는 살았다는 안도감과 구조조정 칼날과 마주한 짙은 한숨이 교차했다.

건설 및 금융업계는 C등급 건설사 수가 업계 예상치를 밑돌았지만 실제 시장에서 체감하는 구조조정의 강도는 상당히 높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3차 건설업 신용위험평가에서 시공능력 100위권 건설사 중 6곳이 C등급으로, 2곳이 D등급으로 분류됐다. 지난해 시공능력 100위권 건설사를 대상으로 한 1차 신용위험평가에서 12개 업체(C등급 11곳, D등급 1곳)가 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갔으며 이 가운데 50위권 건설사 4곳이 포함됐다.

건설사 구조조정 비율은 11%(144곳 중 16곳)로 지난해 1차 신용위험평가(13%) 수준을 소폭 밑돌았다. 시공능력 100위권 밖 건설사를 상대로 한 2차 신용위험평가(24%)와도 격차를 보였다.

채권은행 관계자는 “그동안 두 차례에 걸쳐 건설업 구조조정이 진행됐고, 일부 업체들이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퇴출됐다”며 “이번 신용위험평가 이후 건설업계 구조조정이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재무적 요소 평가…형평성 논란 불씨

채권은행과 감독당국은 향후 건설업 구조조정을 낙관하고 있지만 건설사 신용위험평가 과정에서 제기된 업체간 형평성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건설업계는 꾸준히 비재무적 요소 평가 항목에 채권단과 감독당국의 ‘자의적 판단’ 가능성을 제기해왔다.

특히 구조조정 명단에 오른 건설사들은 채권은행에 제시한 자구계획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은데 대해 강한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신용위험평가를 진행한 채권은행 내부에서도 구조조정 대상에 부실기업이 빠지고, 멀쩡한 건설사가 포함됐다는 볼멘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S사는 막판까지 채권단에 악성 사업장으로 분류된 수도권 도시개발사업 철회 의향을 밝혔던 것으로 전해졌다. N사는 대주주가 일부 자금지원 의사를 밝혔지만 금액이 적다는 이유로 C등급으로 강등됐다. B사는 채권은행에 자구계획안을 밝힐 기회조차 갖지 못했다.

반면 자금난 압박을 받고 있는 J사는 모기업이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지원 의사를 밝히면서 B등급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대주주는 아직까지 유상증자 참여 규모를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

C등급 건설사 관계자는 “C등급과 B등급에 걸쳐 있던 업체들의 경우 대부분 재무사정이 비슷하다”며 “건설업 구조조정이 명분을 갖기 위해서는 평가결과에 대해 납득할 만 해명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건설사 부실 키운 '건설사 신용위험평가'

건설업 신용위험평가가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나타난 금융거래 단절 등의 부작용은 업계에 상당한 후유증을 예고하고 있다.

주택비중이 높은 중견 건설사들은 올 초부터 상당한 자금압박을 호소해 왔다. 저축은행 PF 전수조사와 맞물려 2금융권 차입이 차단된 데다 직접금융시장 자금 조달도 막혔기 때문이다.



여기에 늘어지는 건설업 신용위험평가는 사실상 모든 금융거래를 단절시켰다. 채권은행과 감독당국은 당초 시장 불안을 우려해 100위권 이내 건설사 구조조정을 5월말 진행할 계획이었다. 채권은행들이 건설사 등급 심사 날짜까지 모두 잡아뒀지만 6·2지방선거와 맞물려 발표가 한 달 가까이 지연됐다. 지난해 1차 신용위험평가 작업에 소요된 시간은 보름 정도에 불과하다.

같은 기간 리파이낸싱을 통해 운전자금 확보를 계획하던 다수의 중견 건설사들이 자금 조달 기회를 놓쳐버렸다. 건설업 신용위험평가로 인해 오히려 주택 건설사의 재무 여력이 이미 한계에 와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대부분 중견 건설사들이 3차 건설업 구조조정의 칼날을 피해갔지만 당분간은 살아남기 위한 생존경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img1.gifimg1.gif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