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투자 장기부진 감안한 구조조정 필요"

머니투데이 황국상 기자 2010.06.22 12:00
글자크기

삼성硏 "건설투자의 급격한 둔화, 생산·고용위축 초래" 우려

건설투자의 장기부진을 염두에 두고 건설업계 구조조정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2일 '건설투자 부진의 의미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건설투자의 급격한 둔화 및 침체 장기화는 생산 활동 및 고용위축을 유발해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건설업의 생산·고용 유발계수가 다른 산업에 비해 높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말이다.



연구소는 "건설업의 취업유발계수는 16.8명(10억원 투입당)으로 서비스업(18.1명)과 함께 가장 높은 수준이며 고용유발계수는 14.6명으로 서비스업(13.7명)보다 높다"고 분석했다.

또 "최근 각 산업의 생산유발계수가 전체적으로 하락해 연관산업의 생산유발효과가 감소했지만 건설업은 반대로 확대되고 있다"며 "건설업의 후방연관효과(해당산업의 중간재 공급업계에 미치는 영향)가 다른 산업에 비해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7~2008년간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생산유발계수는 각각 2.073에서 2.061로, 1.721에서 1.712로 줄었다. 반면 건설업의 생산유발계수는 같은 기간 2.055에서 2.093으로 증가했다.

연구소는 "건설투자와 직접 관계가 있는 국내 부동산 경기가 예전의 불패신화를 이어가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인구감소 및 베이비부머의 은퇴 등 구조적 요인으로 주택의 투자매력이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단기적으로도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건설수주가 동시에 둔화하는 등 하반기 건설투자 부진이 심각할 것"이라며 "건설업체 부진이 확산되며 건설경기 흐름도 빠르게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찬영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주택시장 수급 불균형이 완화될 수 있도록 부동산가격 상승기에 도입했던 규제를 순차적으로 완화하는 등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