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대백제전 아시아 대표 역사축제로"

머니투데이 대전=허재구 기자 2010.06.10 16:06
글자크기

이성우 사무총장, D-100일 남기고 준비 순조

↑이성우 세계대백제전 사무총장↑이성우 세계대백제전 사무총장


'1400년 전 대백제의 부활'을 주제로 오는 9월 18일부터 10월 17일까지 한 달간 충남 공주와 부여 일원에서 열리는 '2010 세계대백제전'이 100일을 남겨두고 있다.

22개 대형프로그램을 비롯해 각 지자체별로 마련된 70개 행사로 꾸며지는 세계대백제전은 관람객 260만명(외국인 20만명 포함) 유치를 목표로 현재 행사장 조성 실시계획을 확정하고 입장권 예매에 들어가는 등 순조로운 준비상황을 보이고 있다.



경제적 파급효과가 2400억원, 직접 고용효과가 657명우로 기대되고 있는 아시아 대표 역사문화축제로의 비상을 꿈꾸고 있는 '2010 세계대백제전'의 총 책임자인 이성우 세계대백제전 조직위원회 사무총장을 만나봤다.

- 대백제전이 100일 앞으로 다가왔는데 준비는 잘되고 있는지?
▶준비는 행사 로드맵에 따라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홍보에 중점을 뒀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소화할 회장 골격이 드러나는 것과 때를 맞춰 관람객들이 보다 여유 있고 즐겁게 관람하고 돌아갈 수 있도록 체류형·체험형 관람문화 여건을 조성하는데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계획이다.



- 세계대백제전은 어떤 행사인가?
▶백제는 고대국가 가운데 가장 뛰어난 문화 창조력과 예술혼을 자랑했던 나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망 역사 때문에 폄하된 부분이 많아 백제문화를 제대로 전 세계에 알리고자 축제를 개최하는 것이다. 그동안 공주와 부여에서 55년간 개최해오던 것을 통합해 규모도 확대하고 프로그램도 업그레이드시켜 준비 중이다.

-주요 프로그램은 어떤 것들이 있나?
▶조직위원회에서 준비하고 있는 대표 프로그램은 총 22종(신규 13종, 기존 9종)이다. 백제가 금강유역을 중심으로 해상교류를 활발히 했던 역사를 모티브로 준비하고 있는 수상공연이 볼만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공주 고마나루에서 공연될 '사마이야기'는 무령왕을 스토리텔링했고 '사비미르(부여 낙화암)'는 찬란했던 백제문화를 현대시각에서 재창조해 관람객들에게 신선한 느낌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 대백제의 번영과 평화를 표현한 '퍼레이드 교류왕국 대백제'와 123필의 말과 100명의 병사가 백제인의 웅장한 기상을 표현한 '대백제기마군단행렬', 세계역사도시연맹 회원 20개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비교체험 할 수 있는 '세계역사도시전' 등도 꼭 봐야할 프로그램으로 추천하고 싶다.

-남은 3개월간의 준비는 무엇에 중점을 두고 추진되나?
▶연초부터 전국방방곡곡과 외국을 찾아다니며 웬만큼 홍보를 했다고 자부한다. 오는 7월까지는 절대 홍보기간으로 정하고 국내 외 홍보를 차분히 마무리해 나가는 동시에 행사 프로그램 완성도를 높이는데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이달 초부터 본격 시작된 입장권 예매를 통해 관람분위기 조성에도 더욱 집중하겠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