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내륙 상륙, 방제 총력전

박영암 기자, 양영권 기자 2010.04.22 17:12
글자크기

(종합)충주 구제역 농가의 반경 3km 이내 가축 매몰처분 등

인천 강화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경기 김포를 거쳐 충북 충주까지 남하했다. 특히 내륙 중심인 충북 충주 구제역은 한우보다 전염력이 3000배나 강한 돼지에서 발생, 전국 확산의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2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구제역 방역 관계부처 장관 협의회'를 개최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이날 회의를 마친 후 대국민 담화문을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과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명의로 발표했다.



장 장관은 담화문을 통해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어야 구제역을 조기에 종식시킬 수 있다"며 "당분간 구제역 등 가축질병 발생지역으로 여행하는 것을 자제하고 특히 축산농가 방문을 피해 주시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또 "구제역 발생국가 여행은 자제하고 이들 국가를 여행한 뒤 입국할 때 반드시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신고해 소독 절차를 밟고 5일 이내에는 축사에 출입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구제역발생지역의 쇠고기, 돼지고기 등은 모두 폐기하거나 반출이 금지돼 시중에 유통될 수 없다"며 "조리된 축산물을 통해 구제역이 사람에게 감염된 사례도 없으므로 국민 여러분께서는 우리 축산물을 안심하고 드셔도 된다"고 말했다.

장 장관은 또한 "구제역 발생으로 어려움을 겪는 축산 농가에 필요한 지원을 신속하게 하겠다"며 "처리된 가축은 시가로 보상하고, 축산농가 생활안정을 위해 보상금의 50%를 미리 지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축을 키우지 못하는 기간 동안 생계안정자금을 지원하고 농가가 가축을 다시 키울 경우 가축시세의 100%를 융자금으로 지원하는 한편 정책자금 상환 연기와 학자금 등도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22일까지 살처분한 가축이 모두 4만2000여 마리로 시가로 환산하면 600억 원에 해당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살처분 보상금과 생계안정자금, 가축입식자금 등 1000억 원을 예산으로 확보하고 구제역 발생농가에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최고수준의 위기관리체제를 사실상 최고수준으로 발동했다. 4단계 위기경보 수준 중 3단계인 '경계'를 유지하지만 최종단계인 '심각'에 준하는 대응태세를 갖추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하영제 2차관이 맡던 '구제역대책본부'를 장 장관이 직접 지휘하기로 했다. 아울러 각 지방자치단체에도 모두 방역대책본부를 설치토록 하고 그동안 부단체장이 맡아오던 본부장을 단체장이 직접 맡도록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