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환·나경원·원희룡 정책경쟁 본격화

머니투데이 김선주 기자 2010.04.11 17:27
글자크기
서울시장 예비후보인 김충환·나경원·원희룡(가나다 순) 한나라당 의원이 본격적인 정책 경쟁에 돌입했다.

이들은 11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잇따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책공약을 발표했다.

원희룡 의원은 시민 예산참여제 도입을 필두로 시민을 서울시정의 중심에 두겠다고 다짐했다.



원 의원은 "자의적 예산집행을 방지하려면 시민이 이를 평가해야 한다"며 "시민이 예산의 편성 과정에 참여하는 시민 예산참여제는 예산집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거나 적절히 배분하는데 시민의 의견을 반영하는 제도"라고 소개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 재임 시절 크게 줄인 서울시 부채를 오세훈 시장이 증가시켰다"며 "서울시 본청 부채만 2004년 대비 57% 증가한 1조6800억 원(2008년 기준)인데 이는 서울시민 1인당 16만 원의 빚을 떠안고 있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원 의원은 또 시장 직속 기구인 시민위원회 설치도 공약했다. 위원은 시민 및 시민·사회 단체에서 공개적으로 추천받기로 했다. 서울시에서 1996년 도입한 시민감사 옴부즈만 정원을 늘려 시민의 추천을 받은 5명을 포함시키는 방안도 발표했다.

서울시 부시장 3명 중 1명을 여성에게 할당하는 '부시장직 여성할당제' 도입도 약속했다. 서울시장에 당선되면 시민이 있는 현장으로 월 1회 찾아가 시민의 고충을 청취하는 '시민과의 대화'를 정례화 하겠다고 공약했다.

나경원 의원은 서울·경기·인천 공동 광역수도행정청 설치를 골자로 하는 정책공약 '그랜드서울플랜(Grand Seoul Plan)'을 밝혔다.


나 의원은 "서울·경기·인천이 공동으로 독립적인 기획·재정·사업권을 갖는 광역수도행정청을 설치하겠다"며 "이를 통해 산업, 교통·물류, 환경 기반시설을 설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0월 구성된 임시기구 '수도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를 해체해 광역수도행정청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구상이다.

나 의원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건설안도 내놨다. 지하 40~50m에 건설된 터널을 최고 시속 200㎞로 달리는 GTX를 통해 광역교통 개선 대책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복안이다.

서울시가 추진 중인 대심도 지하도로 건설안인 '유스마트웨이(U-Smart Way)' 사업은 백지화하기로 했다. 나 의원은 이 외에 △역사 문화에 기반을 둔 수도 서울 재창조 △한강 뱃길, 세계도시와 연결 △한강뱃길 광역문화권 조성 등을 통해 수도서울을 '메가 서울'로 변모시키겠다고 선언했다.

김충환 의원은 "자연재해·재난·폭력 등에 대한 대응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서울시민의 안전을 지킬 것"이라며 "과밀화 된 도시지역은 재난, 폭력, 범죄, 질병에 취약한 만큼 화재, 가스폭발, 건조물 붕괴 등 인재를 철저히 예방하고 한강의 교량 및 인공섬 안전점검을 철저히 해 사고를 방지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서울·도쿄·베이징·평양이 참가하는 '동북아 대도시 안전망구축 국제회의'를 통해 기후변화 및 재난재해에 공동으로 대응 하겠다"며 "대규모 재난재해에 대비해 공동모금, 긴급구조 및 지원협정을 체결하고 국경을 초월한 안전의식 제고를 위해 '시민안전의식홍보헌장'을 채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치안협의회를 내실화해 '범죄 없는 서울'을 만들겠다는 구상도 발표했다. 그는 범죄의 광역화 현상, 지능형범죄·사이버테러·국제범죄에 대처하려면 △첨단유전자 감식장비 및 증거물관리시설 지원 △사이버 수사 협조 강화 △해외 대도시협의회를 통한 공동 대응 강화 △피해자 심리검사도구 지원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최근 1심 선고에서 무죄판결을 받은 한명숙 전 국무총리를 언급하며 차별화된 급식 정책을 펴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 의원은 "시민은 안정적인 행정능력을 갖춘 서울시장을 원한다"며 "한 전 총리는 무상급식 전면 확대가 건강급식 예산을 감소시킬 것을 뻔히 알면서 잘못을 저지른 포퓰리스트"라고 비난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