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부터 지상파 3D 실험방송이 추진되며, 연간 6000명의 3D 인력이 양성된다. 1000억원 규모의 3D전문펀드가 조성되고, 연구개발(R&D)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도 마련된다.
지식경제부, 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정부는 8일 오전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4차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3D산업 발전전략'을 보고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오는 2015년까지 약 8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정부는 우선 3D산업이 태동기에 있는 만큼 초기시장 창출이 중요하다고 판단, TV시장 파급력이 큰 지상파 3D실험방송을 오는 10월부터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방송사의 3D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등 국제적 3D 방송표준 및 방송기술의 주도권 확보에 힘쓴다는 방침이다.
또, 3D공간정보 구축사업, 3D문화재 복원사업 등 공공부문에서 3D기술 응용사업을추진키 위해 앞으로 4년간 2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조선, 항공, 광고 등 기존 산업에 3D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3D제품개발사업도 발굴ㆍ추진한다.
이 시각 인기 뉴스
증가하는 인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연간 총 6000명의 3D인력을 양성하며, 300억원을 투입해 고가의 3D장비ㆍ시설 및 테스트베드를 구축, 중소기업이 저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조성에도 나서기로 했다.
유망 3D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강화를 위해 1000억원 규모의 3D전문 펀드를 조성하고, R&D투자 시 비용의 20%(중소기업 30%)를 소득세ㆍ법인세에서 세액공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일단 '안경식 3D TV'로 시장 주도권을 확보한 후, 2015년까지 민관 공동으로 1000억원을 투입해 미래 3D TV시장을 선도해 갈 '무안경' 방식의 3D TV를 개발하고, 2020년까지 2000억원을 투자해 궁극적인 3D기술인 '홀로그램'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3D TV 시청 시 발생할 수 있는 피로감, 어지럼증 등 부작용 방지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3D기기, 콘텐츠에 대한 인증 기준, 시청자보고 규정 및 가이드라인이 마련된다.
영세한 콘텐츠 제작환경 개선을 위해 수출보험공사는 3D수출영화에 대해 대출보증형 상품의 보험가액을 총제작비의 50%으로 상향조정하고, 영화, 게임, 드라마 등 3D문화상품에 대한 제작 투자금에 대해 손실 발생 시 50%까지 보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2015년 영화, 게임, 드라마 등 모든 콘텐츠의 20%가 '3D화'되며, 의료, 건설, 국방, 교육산업에도 3D기술이 적용된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정책으로 3D기기, 소프트웨어 산업 분야에서 2014년 약 15조원의 시장이 조성되고 약 4만명의 고용이 이뤄질 전망"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