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회장 선임 지방선거 이후? 경영공백 장기화

김익태 김지민 기자 2010.04.04 13:15
글자크기

6월 지방선거 이후 회장 선임시..장기간 경영 공백 우려

KB금융지주의 회장 선임 작업이 지지부진하다. 주주총회를 거쳐 새로운 이사회가 꾸려지면 선임 작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한발 짝도 못 나가고 있다.

'굳이 서두를 필요가 있느냐'는 목소리도 들린다. 금융당국 내부로부터다. 오는 6월 지방선거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회장을 선거 이후에나 만나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신임 회장의 등장이 늦어질수록 '보이지 않는 손'의 개입 의혹만 커지고 있다. 누군가를 국내 최대 금융지주 회장 자리에 앉히려 한다는 것. 선거 전 이뤄지면 부담이 될 만한 인사가 거론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회장 공백이 장기화되면 KB그룹 경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배구조를 속히 안정화시켜 영업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얘기다.
KB회장 선임 지방선거 이후? 경영공백 장기화


KB금융은 지난달 26일 주총 직후 이사회를 열고 이경재 전 기업은행장을 이사회 의장에 선임했다. 하지만 당초 예상과 달리 이날 이사회에서는 회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회추위) 구성에 대한 논의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지금도 회추위 구성 작업을 시작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이 의장은 지난 2일 통화에서 "(회추위 구성)시기는 아직 고려해보지 않았다"며 "필요하면 만나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앞으로 정식 이사회를 통해 자연스럽게 논의가 이뤄지지 않겠느냐"고 했던 것과 큰 차이가 없는 발언이다.

KB금융 내부에서 조차 회장 선임 작업이 선거 이후 이뤄질 것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회장 후보 선출 시 외부자문단을 구성할지, 아니면 선출절차를 공모제로 바꿀지 등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있을 수 있지만, 시기의 방점은 6월 이후에 찍혀 있다는 의미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사회에서 회추위 구성에 대해 언급을 하지 않고 있고, KB금융 내부에서도 지방선거 이후 회장이 선출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라며 "여론에 밀릴 경우 일단 회추위를 구성해놓고 본격적인 활동을 선거 후 시작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장기간 회장 공백 상태에 따른 경영 누수가 일어날 수 있다는 점. 지난해 9월 황영기 전 회장이 우리은행장 재임 시절 투자 문제로 물러난 뒤 회장직은 6개월 간 비어 있었다. 황 전 회장이 감독당국의 검사에 대응하느라 어수선했던 시간까지 감안하면 공백 시기는 더 늘어난다.

황 전 회장 사퇴 후에도 회장직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았다. 지난해 실적 부진의 한 원인으로 최고경영자(CEO) 리스크가 꼽혔다. 만일 선거 후 회추위가 구성되면 일정상 7~8월쯤에야 회장이 결정될 전망이다. 거대 금융그룹 회장 자리가 1년여 공석이 된다는 의미다.

당장 은행 지점장들이 자천타천 행장 후보로 거론되는 인사들에 줄을 대려 뛰어다닌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올해 은행권 최대 관심거리인 인수·합병(M&A)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강정원 행장은 지난 2일 월례조례에서 "메가뱅크가 현실화 될 경우 KB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오는 10월 임기가 종료되는 강 행장이 회장 대행 신분으로 외환은행 (0원 %)을 포함한 굵직한 거래를 주도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올 초 푸르덴셜증권 인수전에서 발을 뺀 것도 이런 분위기와 무관치 않았다는 전언이다.

이럼에도 회장 선임 작업이 뚜렷한 이유 없이 지연되자 여러 억측만 꼬리를 물고 있다. 유력인사 A씨가 그 자리를 원하고 있는데 관치 논란에 따른 선거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것. 선거 후 보은인사도 꼬리 달린 억측 중 하나다.

금융권 관계자는 "민간회사인 KB금융의 회장 선임과 지방선거에 무슨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지배구조가 하루빨리 일단락돼야 영업 등 계열사 경영 전반에 힘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쉶궗 차트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