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내 차, 토요타 아니라고 안심?

머니투데이 박종진 기자 2010.02.09 08:44
글자크기

국내외 '급발진' 논란 재연되나…해석은 다양, 결론은 '소비자 안전'

토요타 대량 리콜사태 파장이 보름 넘게 세계를 뒤흔들었다. 지난 5일 밤 마침내 도요타 아키오 사장이 공식 사과를 했지만 그 여파는 여전히 짐작할 수 없다.

특히 문제의 원인이 차량 전자화에 따른 전자제어장치의 알 수 없는 오류라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불안은 커지고 있다. 만약 그렇다면 전 세계 모든 자동차가 '급발진'이나 '급가속'처럼 통제 불능한 상태에 빠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일각에서는 한 번도 공식 인정된 적이 없는 차량 '급발진' 논쟁 같은 해결되지 못한 문제들이 봇물 터지듯 불거져 나오는 것으로 본다. 특정 부품 결함이나 일부 시스템 오류가 아닌 전자장비 적용이 증가해 비롯된 필연적 결과라는 주장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 경우 증명할 수가 없다. 순간적으로 전자제어 장치가 오작동을 일으켰다 해도 재연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마치 번개가 똑같은 자리에 그대로 떨어지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수십 개의 전자제어장치 간에 약간의 통신 오류만 생겨도 공기 및 연료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가 잘못 열려 급가속이나 급발진을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현재 전체 부품 대비 20%~30%대의 전기전자 장비가 2015년쯤 40%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 예상한다.

물론 전자제어장치의 문제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관계자는 "자동차의 전자장치들은 일반 컴퓨터보다 훨씬 정교하다"며 "가속페달이나 엔진의 스로틀 밸브 등 안전과 직결되는 부품들에는 2개씩 센서가 있어 행여 하나가 오작동 돼도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2개가 다 오류를 일으켜도 중앙 제어장치가 순간 서로 상관관계를 보고 판단해 작동한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이들은 이번 사태의 원인과 의미를 부품공용화, 해외공장 생산 체제 등 일본 산업시스템의 변화에서 찾는다. 기술적 측면보다는 전체 산업적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기계산업팀장은 "다행히 현대차 (283,000원 ▲2,000 +0.71%)는 2000년대 이후 전략을 수정해 토요타와 시스템이 다르다"며 "모듈화(기능별로 부품을 조립·관리하는 방식)에 따라 품질 검증 단계가 한차례 이상 더 이뤄진다"고 밝혔다.

이처럼 분석은 다양할 수 있지만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안전 확보란 지적이다. 사태 초기 토요타의 두루뭉술한 해명과 대처에 의아해하는 여론이 많았다. 결론이 어떻게 나든 모든 불안 요인에 대한 제조사의 명확한 규명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대차도 이를 살펴 크고 작은 결함 문제에서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는 분석이다.

현대차 차트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