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어서 못살겠다" 탈서울 건설사 줄이어

머니투데이 송충현 기자 2010.01.24 15:31
글자크기

유지비 비싼 서울버리고 공사 많은 지방으로의 이전 추진

최근 본사 소재지나 본사 기능을 경기·인천이나 아예 지방으로 옮기는 건설사들이 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의 공공공사 발주와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늘어나면서 이를 겨냥한 '탈출'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2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송도·청라·영종지구 등 경제자유구역 개발과 함께 오는 2014년 아시안게임을 실시하는 인천으로의 이전이 가장 활발하다.



신동아건설은 지난해 말 경기 성남시로 돼 있던 본사 주소지를 인천 남동구로 옮겼다. 지난해 3월 서울 여의도 소재 본사를 인천 남동구로 옮긴 벽산건설 (0원 %)은 실질적 본사 역할을 해 온 서울사무소까지 인천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두고 검토 중이다. 현재 회장의 최종 승인만 남겨둔 상태다.

포스코건설은 아예 인천으로 사옥을 이전한다. 포스코건설은 오는 7월 본사 기능을 해온 서울 역삼동 사무소를 인천 송도 국제업무단지로 옮길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사옥 2개동과 직원아파트를 짓는 등 대대적인 이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와 지방으로 주소지를 변경하는 건설사도 증가하고 있다. 서울에서의 경쟁을 피하고 지방의 발주물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지난 2007년 웅진그룹이 인수한 극동건설은 2009년 11월 본사 주소지를 울산에서 그룹내 주요 공장이 위치한 충남 공주로 이전했다. 세종시 관련 공사를 비롯해 충남 일대 공공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위해서다.

기업개선작업(월드건설)이 진행 중인 월드건설의 경우 새로운 본사 소재지로 서울보다 경쟁이 덜한 경기도를 선택, 지난해 11월 화성시로 본사를 옮겼다. 대표적 부산 건설사인 반도건설은 올 초 본점 주소지를 인천 송도로 바꿨다.

건설사들이 이처럼 본사를 이전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공사 물량 확보 때문이다. 지방의 경우 지자체가 발주하는 대형사업이 많고 개발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지방에서 발주하는 토목 등 공공사업의 경우 컨소시엄 구성시 반드시 지역업체를 참여토록 하고 있다는 점도 건설사들의 본사 이전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본사 주소지를 등록한 지자체에 세금을 내는 만큼 해당지역 사업을 수주할 때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분양 중심의 사업을 펼치며 해외공사나 토목 등 공공공사를 하지 않았던 건설사들의 경우 주택시장 침체로 인해 한 마디로 '수주 유목민'이 됐다. 재정난 해소를 위해 유지비가 많이 드는 서울을 포기하는 업체도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