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위안화 절상? 향후 수출기업 영향은...

윤항진 한국투자증권 이머징마켓팀 팀장 2009.11.17 09:34
글자크기

[이머징마켓포인트]

출연> 윤항진 팀장 / 한국투자증권 이머징마켓팀

질문 1. 중국 증시는 3200선에 안착하며 3개월 만에 최고치로 올라섰네요?

▲ 중국증시 마감동향
☞2일 연속 큰 폭 상승
*상해종합지수 3,275p 마감
->전일대비 +87.4p(+2.7%)
->3개월여 만에 3,200p 돌파

☞특징업종
*석탄주 강세
->공급부족에 따른 가격 인상 기대
*시멘트, 자동차, 가전제품 업종 상승
->내수부양책 지속 기대



☞주가 상승 배경
*美 증시 상승 영향
*후진타오 주석, 경기부양책 지속 발언
*석탄, 철강 등 소재가격 상승 전망
*위안화 절상 기대->핫머니 유입 가능성





질문 2.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오늘 후진타오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인데요. 오바마 대통령의 방중을 비롯해서 최근 여러 정책적인 요인들이 증시 변수가 되고 있네요?

▲ 중국증시 주요 정책변수
*美 대통령 방중 및 환율문제
*APEC정상회의+경기부양책 지속 가능성
*대주 및 공매도 관련 증시정책 발표여부
*전기요금인상 등 물가정책

호재만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긍정적 영향만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정책의 실현 여부, 내용 등에 따라 영향이 달라질 것

▲ 중국증시 주간전망
*강세 분위기 우세
*정책실현 및 재료소진 여부에 따라
->차익실현 매물 출회
☞단기 상승 후 조정 가능성


질문 3. 특히 오바마 미 대통령의 첫 중국방문을 통해
중국 위안화 절상을 이끌어낼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죠?

# 美 오바마 대통령 방중
->17일 후진타오 주석 ? 원자바오 총리 회담 예정

▲ 中·美 정상회담 주요의제
*경제 문제
-양국 간 무역불균형
-위안화 환율 등
*기후변화, 금융위기, 세계경제, 지역안보 등
*위안화 환율 문제
-美 위안화 절상 촉구 가능성
-中 인민은행 "위안화 책정방안 검토"
☞위안화 절상 기대 강화



질문 4. 실질적으로 단기간 안에 위안화 절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는 건가요?

*현재 위안화 환율
1달러당 6.83위안 동결 고시(08년 하반기 이후)

*인민은행, 환율제도 변경 시사
美 대통령 방중 앞둔 의례적 코멘트 차원

▲ 中 위안화 절상 가능성
☞간접적으로 소폭변화 예상
*통화 바스켓 내 달러화 비중 축소
->자연스럽게 위안화 환율 하락
*환율 변동 소폭확대 가능성



질문 5. 향후 위안화 절상이 가시화 될 경우에 수출 기업들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 위안화 절상에 따른 변화
☞중국 기업 영향
*수출 업종 불리
-가격경쟁력 약화
*수혜 업종
->항공여행주 및 내수소비재주 등

☞한국기업 영향
*대중 수출 증가
*제3시장에서 중국 상품 대비 가격경쟁력 강화
*반면 중국 내 생산, 제 3시장 수출기업 불리

※ 그러나 기업에 대한 영향은 당장 크지 않을 것
-절상 시기가 연말 경이 될 것이고
-위안화 절상 폭도 크지 않을 것이기 때문



질문 6. 그리고 최근 중국증시에서 B시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B시장이라는 것이 외국인 전용 시장을 말하는 것이죠?

▲ 중국증시 B시장 개요
*외국인 전용시장
*위안화 표시 증권을 외화로 거래
-상해B시장 : 달러화
-심천B시장 : 홍콩달러

▲ 중국증시 B시장 규모(11월 13일 기준)
종목수 시가총액(위안) 거래대금(위안) 평균PER
A시장 850개 17조 5,910억 1634.1억 27.66배
B시장 53개 851억 22.3억 21.6배
B/A 6.2% 0.5% 1.4% -

▲ 최근 3개월 수익률
상해증시 심천증시
A지수 7.4%, 15.4%
B지수 23.4% 21.5%



질문 7. 이처럼 중국증시에서 B시장이 강세를 보이는 있는 배경은 무엇 때문인가요?

▲ 중국증시 B시장 강세 요인
*中 경기회복세 및 기업실적
: 타 국가 대비 강세
->'중국'에 대한 투자 차원
*위안화 절상 가능성
->'중국 자산'에 대한 투자

▲ 중국증시 'B시장' 전망
*위안화 절상 기대 : B시장 호재 작용
->절상 기대 약화로 조정 가능성 有
*中 경제 및 증시강세 기대
->해외자금 유입 지속
☞장기적으로 강세 지속 예상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