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최종안, 내년1월 베일 벗는다

머니투데이 전혜영 기자 2009.11.04 17:26
글자크기

3개월간 대안모색, 구체적 내용 함구 불구 '교육·과학·산업 복합단지' 유력

정부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세종시 수정안 추진 강행 의지를 밝히면서 향후 일정과 최종안의 구체적인 내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내년 1월까지 석달간 숨 가쁜 일정을 소화한 후 베일을 벗을 최종안은 원안인 '행정도시' 개념에서 더 나아간 '복합 기업도시' 모델이 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갈길 먼' 정부, 향후 일정은?=정부는 4일 공식화한 민관합동위원회를 중심으로 중지를 모아 가급적 내년 1월내에 최종안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정 총리는 이날 도렴동 정부청사에서 대국민발표를 통해 "현재 계획으로는 세종시가 50만 인구가 어울려 살 수 있는 자족도시로 발전할 수 없다"며 "가급적 내년 1월까지 대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총리 산하에 민관합동위원회를 구성, 대안을 모색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위원회는 국무총리와 민간위원들이 호선을 통해 선출할 민간위원장(미정)이 정 총리와 함께 공동위원장을 맡고, 8개 관련부처 장관·총리실장과 민간 명망가 15명 내외를 포함해 총 25명 내외로 구성할 계획이다.

민관 합동위원회를 지원하는 정부부처 조직도 별도로 꾸려진다.

국무총리실은 권태신 국무총리실장을 단장으로 위원회에 참가한 8개 정부부처 차관들과 '세종시 추진 정부지원단'을 구성, 정부부처간 관련업무의 지원 및 조정을 담당토록 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조원동 국무총리실 사무차장을 단장으로 하는 '실무기획단'을 둬 정 총리가 공동위원장이 되는 민관합동위원회 운영을 지원토록 할 방침이다.

민관합동위원회는 내년 1월까지 3개월간 한시적으로 세종시와 관련한 국민과 충청권의 의견을 수렴하고, 그동안 진행한 정부와 전문기관 연구 등을 토대로 행정비능률 문제와 자족기능 확충방안 등을 충분히 토의·검토해 최종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복합 기업도시'모델 대안유력=정부는 최종안의 구체적인 내용은 물론 윤곽에 대해서도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정 총리는 "지금 세종시에 대한 구체적이고 확정적인 대안을 갖고 있지는 않다"고 전제한 뒤 "그간 정부에서도 세종시 자족기능 보완방안을 면밀히 연구해 왔고, 이를 토대로 사회 각계각층의 중지를 모아 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교육·과학·산업 복합단지' 형태의 기업도시 모델이 유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정 총리는 그동안 비공개로 기업 및 대학과 유치와 관련한 면담을 가져왔다. 현재 일부 대기업과 유수 대학 연구소 등이 이전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는 지난 10월 30일 세종시 건설현장을 찾은 자리에서 "비공식적으로 몇몇 기업들이 오겠다는 의향을 갖고 있다고 들었다"며 "대학 연구소는 벌써 오겠다는 데가 여러 군데 있고 나하고 약속도 했다"고 말한 바 있다.

정 총리는 또 세종시 원안추진을 촉구하며 단식중인 유한식 충남 연기군수를 만난 자리에서도 "허허벌판이던 울산, 포항, 광양 등이 다 비즈니스 도시가 됐다"며 "여기도 그렇게 만들 수 있다"고 말해 기업도시 모델이 유력함을 시사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