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DJ' 정국…화해모드로 전환할까

머니투데이 이승제 기자 2009.08.23 11:25
글자크기

野, MB 정치개혁 구상 긍정평가+남북관계 해빙기대

'포스트 DJ' 이후 정국이 화해와 협력 모드로 전환할 것이란 기대를 낳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정치개혁 구상'이 지역주의 타파를 핵심으로 하고 있는 데다 야당이 선거구제 개편 등에 우호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

또 청와대와 정부 측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와 관련해 적극 협력하며 화해와 협력을 위한 의지를 보였다. 게다가 영결식 당일인 23일 북한 측의 조문 사절단이 이명박 대통령을 접견해 최악의 수준으로 경색된 남북 관계에 해빙모드가 조성될 것이란 기대로 이어지고 있다 .



◇화해 모드를 향한 움직임=청와대 측은 일부 반대에도 불구하고 김 전 대통령의 장의를 국민장이 아닌 국장으로 하자는 유족 측의 요구를 전격 수용했다. 이로써 현직 대통령이 아닌 전직 대통령의 장례가 처음으로 국장으로 치러졌다. 일부 보수진영에서는 이에 대해 강력 반발하기도 했지만 이 대통령의 결단에 따라 국장으로 결정됐다는 후문이다.

또 정부 측은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의 때와는 달리 서울광장을 개방해 일반 국민의 조문의지를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영결식 후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서울광장을 경유하겠다는 유족 의사도 받아들였다.



민주당은 최근 이 대통령이 전격 발표한 정치개혁 구상을 긍정평가하고 있다. 행정구역 재편은 중·대선거구제를 골자로 하는 선거구제 개편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경우 최대 수혜정당은 단연 민주당이 될 것이라는 게 정치권 분석이다. 선거에서 기존 텃밭인 호남은 물론 영남·충청권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낼 가능성이 높기 때문.

북한은 조문단에 김기남 노동당 비서, 김양건 통일전선부장 등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최측근 인사들을 포함시켰다. 조문단은 이날 이 대통령을 면담해 김 국방위원장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다.


김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여야 관계는 물론 남북 관계 모두 대화와 화해 모드로의 전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

◇변수는= '미디어법 대전' 이후 원외 투쟁을 벌이고 있는 민주당이 9월 정기국회 전략을 어떻게 펼치 관심사다.



한나라당은 평생을 의회주의자로 일관한 김 전 대통령의 유지에 따라 민주당에 '조건없는 등원'을 촉구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청와대에서 천명한 '중도실용, 친서민 정책'에 발맞춰 민생 탐방 대장정을 펼치고 있다. 9월 정기국회를 제때 열어 시급한 민생법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민주당을 압박하고 있다.

반면, 그동안 장외투쟁을 벌여왔던 민주당은 당장 등원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내부 의견수렴을 통해 `원내외 병행투쟁' 전략을 가다듬겠다는 복안이다.

민주당 내에서도 '등원론'이 점차 힘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문기간 조성된 화합 분위기를 마냥 외면하기 어렵다. 또 'MB 정치개혁 구상'에 대한 당내 긍정 평가도 등원을 향한 촉매제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10월 재보선 결과에 여야는 물론 정치권의 관심이 쏠려 있다. 비록 국회의원 3~5곳의 '미니선거'로 치러지지만 결과에 따라 이 대통령의 집권 2기 국정운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남 양산에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가 출마를 공식화했고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경기 안산 상록을 등 수도권 지역의 선거결과에는 김 전 대통령과 노 전 대통령의 잇단 서거 이후 달라진 수도권 민심이 반영될 전망이다. 만약 판세가 여당의 '완패', 야당의 '압승'으로 나타날 경우 메가톤급 후폭풍이 불가피하다.

청와대가 여당의 양보를 촉구하며 정치개혁 구상을 서둘러 발표한 것도 이같은 민심변화의 흐름을 우호적으로 조성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근원처방'의 성격 못지 않게 정국을 능동적으로 돌파하려는 '선제적 대응'이라는 분석이다 .



청와대 및 내각 개편의 정도와 이에 따른 평가도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인사 탕평을 어느 정도 실현할 지, 이를 통해 친이(친 이명박)·친박(친 박근혜) 등으로 갈린 여권을 어느 정도 결집해 낼 지 관심을 끈다.

또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남북 협상 이후 남북관계가 어떤 흐름을 보일 지에 벌써부터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남북관계의 해빙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마련될 경우 이 대통령과 청와대가 정국 주도권을 쥐고 집권 2기를 힘있게 추진해 가는 발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