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재난, 정부 공조체계는 '흔들'

머니투데이 성연광 기자 2009.07.10 11:26
글자크기

숙주서버 등 핵심정보 공유 하나..'밥그릇 싸움에 이용자 피해만"

사상 초유의 사이버대란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관계 보안기관간 공조체계에도 적잖은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

10일 사흘째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유발하는 숙주서버를 두고 방송통신위원회와 국가정보원이 서로 다른 주장을 펼친 것.

이날 오전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은 숙주사이트로 의심되는 국내외 IP 5곳을 확인, 차단 조치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비슷한 시각 국가정보원은 국회서 열린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미국, 과테말라, 중국, 일본 등 16개국 86개 IP를 통해 사이버테러가 감행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여야의원들에게 보고했다.

이는 86곳의 국내외 숙주서버를 포착했다는 것으로, 민간부문 정보보호 지원업무를 담당해온 KISA측과 이에 대한 정보 공유가 없었다는 얘기다.



숙주서버는 실제 DDoS 공격을 유발하는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지점으로, 추가적인 DDoS 공격방지를 위해선 이용자 PC에 숨겨진 악성코드가 해당 숙주서버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서둘러 차단해야한다.

사이버테러 대응 관계 기관 간 공유해야 될 핵심 정보인 셈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사이버 테러대응체계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한 관계 기관 간 신경전이 그대로 노출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없지 않다.


DDoS 공격자 및 근원지 추적을 위한 검ㆍ경과의 공조체제도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이다.

특히 수사기관 일선 현장에선 아직 뚜렷한 '단서'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국정원측이 '북한' 배후설을 제기한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결국 이처럼 허술한 정부기관 간 공조체계가 이용자들의 피해를 확산시키는데 일조했다는 비난도 제기되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