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 인터넷대란, 핵티비즘의 부활?

머니투데이 성연광 기자 2009.07.08 16:49
글자크기

정치적 목적 해킹 가능성 대두..."실력과시 차원에서 진행됐을 수도"

7일 청와대와 국방부, 외교통상부, 미 백악관 등을 겨냥해 감행된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이 '핵티비즘(hacktivism)'에 따른 공격 아니냐는 관측이 불거지고 있다.

핵티비즘이란 해커(hacker)와 행동주의(activism)의 합성어. 정치 사회적인 목적을 위해 정부나 기업, 단체 등의 인터넷 사이트를 해킹하는 활동방식을 말한다.



현재로선 공격 근원지가 어디인지, 어떤 목적으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했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그러나 해커의 주된 공격 대상이 청와대와 국방부, 외교통상부, 등 국내 주요 국가기관과 미국 백악관, 국무성 등에 집중됐다는 점에서 정치적 목적에 따른 사이버 테러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 이번 DDoS 공격이 이른바 '뒷거래'를 통해 검은 돈을 노려왔던 이른바 상업적 해커들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게 보안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초까지 국내에서 기승을 부렸던 DDoS 공격은 게임 아이템거래 사이트나 화상채팅 사이트, 중소 쇼핑몰 등을 집중적으로 공격한 뒤 공격 중단을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번 공격의 타깃 대상은 '돈벌이'와는 전혀 상관없기 때문이다.


그렇다해도 이것만으로 핵티비즘에 따른 공격행위인지 여부를 속단할 수는 없다.

정치적 목적을 위해 공격이 이루어졌다면 해당 홈페이지를 변조해자신들의 주장을 알리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번 공격을 감행했던 해커들은 아직까지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기 때문.



실제 2002년 9월 포르투칼 해커들이 인도네시아 정부의 컴퓨터망에 침입해 40대의 서버를 무력화시킨 뒤 '동티모르를 독립시카라'는 구호를 내걸었다.

또 같은해 10월 인도정부 웹사이트를 해킹한 해커는 '카슈미르를 구하라'라는 슬로건을 띄웠다.

국내에선 지난해 광우병 쇠고기 정국과 맞물려 한나라당 홈페이지가 해킹당한 뒤 항의성 글로 변조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단순 실력과시 차원에서 이루어진 소행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도 설득력 있게 제기되고 있다.

미 백악관과 국무부, 청와대, 국방성 등은 이미 해커들이 지명도를 높이기 위해 노리는 '단골 타깃'인데다, 네이버 사이트 중 블로그와 메일, 옥션, 3곳의 시중은행 등 정치적으로 전혀 상관없는 사이트들을 공격대상에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가령, 신종 악성코드의 파급력을 시험해보기 위한 차원이나, 정부의 대응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차원에서 진행됐을 수 있다는 얘기다.



단, 7일 저녁 대규모 공격을 앞두고 단기간에 신종 악성코드를 소리소문없이 배포하고, 추적을 따돌리기 위해 원격조정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 등 사전에 치밀한 준비를 거쳐 계획된 소행이라는 점에선 개인보다는 전문적인 조직의 소행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