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족한 통계청 통계

머니투데이 강기택 기자 2009.06.01 08:46
글자크기

말랑말랑한 경제-카스테라

 "가계소득이 물가상승을 감안한 실질 기준으로 어떻게 변해 왔는지 알 수 있는 자료는 없나요." "실질 기준 자료는 별도로 준비하지 않았습니다. 브리핑 끝나는 대로 통계청 홈페이지에 올려 놓겠습니다."

 지난달 29일 오전 10시 기획재정부 브리핑룸에서 통계청의 올 1분기 가계동향 브리핑이 있었다. 가계소득은 명목소득보다 실질소득이 국민들에게 알려줄 정보가치가 높다고 판단해 기자들은 늘 실질소득을 기준으로 기사를 써왔다.



 그러나 통계청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번번히 실질소득이나 실질소비의 추이를 제시하지 않았다. 어느 매체가 보도했든 그간 나온 관련기사를 한번이라도 읽어 봤다면 통계청이 쉽게 개선할 수 있는 사안이고 실제 통계자료도 갖고 있는데 미리 기자들에게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흑자가구와 적자가구의 비율에 대한 별도자료는 지난번 브리핑에 참석한 기자수만큼 자료를 가져 왔다는데 채 10장이 안 됐고 추가로 복사해 전달하겠다고 했지만 추후 배포도 이뤄지지 않았다.



 알고 싶은 이들만 알게 할 자료가 아니라면, 그리고 취재 일정상 브리핑을 듣지 못하고 자료만 보고 기사를 써야 하는 기자가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책자로 된 통계자료를 현장에서 나눠 주거나 이메일로 통계자료를 뿌릴 때 필요한 자료를 첨부해 제공할 수도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통계청 자료엔 나름의 용어설명을 달고 있지만 명쾌하게 이해하기에 쉽지 않은 표현들이 적지 않았다. 예컨대 이전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의 개념에 대해서는 감이 오지만 늘상 자료를 접하지 않으면 구체적으로 무엇이 해당되는지 알 수 없고 헷갈리기도 한다.

 특히 이번 분기부터 (부동산) 임대소득이 재산소득에서 '사업소득'으로 분류가 바뀌었고 그에 따른 착오가 있을 수 있으므로 용어설명이나 각주 처리를 해줄 필요가 있었다. 이는 비단 가계소득 뿐 아니라 통계청이 내는 모든 자료에 적용되는 얘기다.


 통계청의 보도자료는 통계청 홈페이지에 게시돼 기자들뿐만 아니라 경제연구소, 금융기관, 경제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나 일반 국민들도 이용한다. 따라서 모든 자료가 최종 소비자들인 국민들에게 정확하게 전달돼야 하고 그 자료들은 그런 만큼 누가 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달아 충실하게 작성돼야 한다. 앞으로는 통계청이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자료를 작성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