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다시 오나? '철밥통' 공기업 명퇴 본격화

머니투데이 최명용 기자 2009.02.17 17:50
글자크기

한전, 한수원 노사합의로 희망퇴직 신청… 공기업에 확산 움직임

공기업들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있다. 10여년 전 외환위기 때 유행처럼 번졌던 희망퇴직이 공기업을 중심으로 확산될 조짐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전력 (19,570원 ▲270 +1.40%)과 한국수력원자력, 수자원공사 등 주요 공기업들이 각각 희망퇴직을 실시키로 했다. 다른 공기업들도 노사합의를 통해 희망퇴직를 실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전은 노사합의를 거쳐 오는 19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로 했다. 다음달 13일 퇴직 예정자를 결정하고 16일자로 퇴직 조치가 내려진다.



한전은 20년 이상 근속자는 명예퇴직으로, 그외는 조기퇴직의 형식으로 퇴직을 단행키로 했다. 명퇴 해당자에겐 1억원 한도내에서 명퇴금의 70% 한도의 위로금이 지급되고, 조기퇴직 해당자에겐 근속기간에 따라 연봉 월액의 3~18개월분을 위로금으로 지급키로 했다.

한수원도 오는 23일까지 희망퇴직을 받는다. 재직 중인 5직급 이상 직원과 6직급, 상근촉탁 및 청원경찰 등이 대상이다. 한수원 퇴직자들도 다음달 16일 퇴직처리된다.



한전과 한수원은 지난해 임직원들이 반납한 임금인상분을 재원으로 활용해 퇴직자들의 위로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수자원공사는 지난 16일 106명의 조기퇴직자를 확정지었다. 수자원공사는 전 직원이 연봉의 3~10%(임원 750만원, 직원 140만원)를 갹출해 마련한 약 56억 원의 재원으로 조직퇴직자의 전직을 지원해주기로 했다.

다른 공기업들도 희망퇴직을 위한 노사합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지난해 정부에 제출한 경영 선진화 방안에 맞춰 인력을 줄이기 위해선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현재 확정된 계획은 없지만 희망퇴직의 가능성은 열려 있다"며 "노사합의가 이뤄지는 대로 희망퇴직 신청을 접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기업들은 지난해말부터 각종 제도를 통해 조직에 긴장감을 더하고 있다. 일부 간부사원을 무보직 발령을 내 교육을 받도록 하기도 했으며 헤드헌팅식 인사제도를 도입하기도 했다.

최근 한전이 40명의 간부직원을 무보직으로 발령해 교육을 받도록 조치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석유공사도 지난달 초 7명의 간부 직원으로 무보직으로 발령하기도 했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 시스템을 강화하고 저성과자에 대한 특별 관리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300명 가량을 감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다양한 방면에서 인력 감축과 경영 효율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