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인턴, '무늬만' 일자리 나누기

머니투데이 권화순 기자, 이새누리 기자 2009.02.16 08:34
글자크기

'은행 대졸초임 4316만원'(하)

- 정규직 줄이고 인턴으로 대체?

은행권이 올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 크게 늘리는 인턴채용이 '무늬만 잡셰어링(일자리 나누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부담이 덜한 인턴만 늘리고 정규직 신규 채용은 줄이려는 탓이다. 기존 직원들의 임금을 깎아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노조의 거센 반발로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지적이다.



은행권 인턴, '무늬만' 일자리 나누기


◇무늬만 잡셰어링=은행권은 청년실업 해소를 위해 인턴 채용 규모를 늘렸다. 민간금융회사와 금융공기업에서 6600여명을 채용할 예정인데 은행권이 3990명으로 가장 많다. 정부가 경제정책의 초점을 '잡셰어링'에 맞춘 데 화답하는 수순이다.

하지만 시행 초기부터 '한계'가 드러났다. 실질적인 고용으로 이어지지 않아 구직자들을 2번 울린다는 얘기다. 인턴 채용 기간은 길어봐야 10개월, 짧게는 6주로 끝난다. 은행권이 긴축경영에 돌입한 탓에 정규직 전환 기회는 '가뭄에 콩나듯' 한다. 인턴제가 활성화되면 실업률은 떨어지겠지만 반짝효과에 그칠 것이 자명하다.



은행들은 정작 정규직 신규채용 규모를 줄이고 있다. 일부는 경기가 더 악화되면 아예 신규채용을 하지 않는다는 계획이다. 정규직은 점점 줄고, 월 100만원의 인턴직만 늘면서 잡셰어링의 본말이 전도된 게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진다.

◇"고임금 깎아 일자리 나눠야"=이를 감안해 금융공기업이 우선 '총대'를 멨다. '잡셰어링'의 취지에 맞게 임금을 깎아 신규 채용을 확대키로 한 것이다.

자산관리공사(캠코)는 신입직원의 임금을 30% 줄이기로 했다. 노조와 합의가 남아 있어 수습기간을 1개월에서 6개월로 늘리는 방법을 택했다. 이렇게 마련한 재원을 활용해 신규 채용을 종전 30명에서 40명으로 늘려 잡았다. 주택금융공사와 산업은행도 대졸 초임을 25~30% 깎아 채용을 늘리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런 기류가 은행권 전체로 퍼질지는 미지수다. 임금 삭감안이 노조의 거센 반발에 부딪쳐 무산될 공산이 큰 탓이다. 우선 초임만 깎더라도 결국 기존 직원의 임금에도 손을 댈 수밖에 없다는 게 노조의 예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려는 경쟁 때문에 특정 은행이 먼저 임금을 떨어뜨리기란 쉽지 않다"면서 "임금을 깎는 대신 업무시간을 줄인다는 전제를 깔고 은행권 노사가 공동으로 머리를 맞대야 풀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