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 늘며 경영효율 하락

머니투데이 김익태 기자 2009.02.13 08:51
글자크기

[은행 대졸초임 4316만원](상)

은행의 경영 효율성을 엿볼 수 있는 '경비보상비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임금이 늘어나는 만큼 효율성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경비보상비율은 영업이익 중 어느 정도를 경비로 지출했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경비에는 퇴직급여 충당금 전입액, 인건비, 물건비, 기타 영업비용 등이 포함되는데 인건비 비중이 약 70%를 차지한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의 경쟁력이 떨어진다. 반면 효율적인 전산투자 등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있거나 대형화, 겸업화 등으로 경영 효율성이 높으면 비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12일 금융당국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신한·우리·하나·외환·SC제일·한국씨티은행 등 7개 시중은행의 2008년 말 손익계산서 기준 평균 경비보상비율은 48%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2008년 말 '뱅커(Banker)지'에 수록된 씨티그룹 등 미국 주요 은행의 평균 비율 62%와 HSBC 홀딩스 등 영국 주요 은행 평균 52%보다 떨어지지만, 싱가포르(44%)과 홍콩(38%)의 주요 은행보다는 높은 수치다.

국내 7개 시중은행의 경비보상비율은 2004년 평균 40%를 기록했다. 하지만 영업이 호황을 누리면서 덩달아 높아지기 시작해 2005년 50%를 넘어섰고 2006년 52%까지 치솟았다. 2007년에는 46%로 후퇴했지만 지난해 48%로 다시 상승했다.



지난 해에는 경기침체에 따른 대출 부실화와 기업 구조조정 한파로 순익이 반토막 나 비율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부분 은행이 지난해 하반기 금융 위기가 닥치면서 비용절감 노력을 기울였기 비용이 크게 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은행의 경우 2004년 경비보상비율이 34.97%를 기록했지만, 지난 해에는 50%를 약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됐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36.75%, 44.84%에서 각각 40%와 50%를 웃돌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하나은행은 2004년 44.46%를 기록했지만, 지난해에는 41% 정도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외환은행 역시 40.08%에서 38% 가량으로 예상됐다.

외국계 은행인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의 경비보상비율은 국내 시중은행보다 더욱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2004년 61.60%와 50.06%를 기록했던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은 지난해 비슷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익명을 요구한 한 애널리스트는 "경비보상비율이 높다는 것은 결국 영업이익에 비해 인건비가 많이 들어간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이로 인해 국내 은행의 경영 효율성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