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 초고층개발 망원지구만 '왕따?'

머니투데이 전예진 기자 2009.02.11 11:06
글자크기
↑ 망원지구와 합정지구 ⓒ서울시↑ 망원지구와 합정지구 ⓒ서울시


'한강변에서 우리만 왕따'

서울 마포구 망원지구 주민들이 서울시의 한강변 개발정책에 반기를 들고 나섰다. 압구정 잠실 여의도 등 다른 한강변은 초고층으로 개발하면서 망원동 일대만 타운하우스 지구로 지정해 재산상 피해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11일 서울시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19일 '한강 공공성 회복 선언'을 발표하면서 망원 당산 반포 잠실 구의자양 등 중·소규모 개발이 예상되는 지역을 유도정비구역으로 선정했다.



잠실은 높이완화구역으로 주거부문 최고층수 50층 내외, 평균층수 40층 내외로 건축이 허용된다. 당산 반포 구의자양 지역도 높이유도구역으로 지정돼 최고층수 50층, 평균층수 30층 내외로 최고층수 제한이 풀렸다.

하지만 망원지구는 높이관리구역으로 지정돼 현행 용적률 기준이 유지된다. 한강변 중 망원지구만이 초고층 개발에서 제외된 것이다. 시는 망원지구가 다세대 다가구 빌라 등 소규모 노후 주택이 밀집한 만큼 도심형 타운하우스 개념의 주거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 “왜 망원지구만 ‘왕따’”

↑ 망원지구발전위원회 사무소 ⓒ망원발전위 카페 ↑ 망원지구발전위원회 사무소 ⓒ망원발전위 카페
이에 망원동과 합정동 주민들이 '서울시가 버린 땅이다' '무전유죄 유전무죄의 희생양이 됐다'며 발끈하고 나섰다.

주민들은 지난달 31일 '망원발전지구 발전위원회'를 조직하고, 지난 6일부터 전단지를 제작하는 등 서울시 시책에 대한 저지 활동에 나섰다. 관련 인터넷 카페에는 회원 1000여명이 가입하는 등 폭발적 반응을 얻고 있다.


이들은 형평성 문제를 거론하며 다른 유도정비구역과 동등하게 높이제한을 허용해달라고 주장했다. 또 차선책으로 2종일반주거지역 평균18층을 적용해달라고 요구했다.

망원1동의 한 주민은 "초고층이 허용된 이웃 당인리 합정지구는 서울시 발표 이후 땅값이 오르고 매매문의가 증가한 반면 망원 지역은 되레 3.3㎡당 500만원 정도 가격이 하락했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이상철 망원발전지구위원회 위원장은 "타운하우스가 건립되면 초고층인 주변지역과 비교해 분지형태로 푹 꺼진 지형이 될 것"이라며 "개발정책에서 밀려난 빈곤 계층을 수용하는 슬럼화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달부터 망원 전 지역에 전단지를 배포하고 지역주민의 서명을 모아 서울시에 탄원서를 낼 계획이다.

김건우 망원발진지구발전위원회 위원은 "일주일만에 1000장의 서명을 받았다"며 "1만명의 탄원서를 모아 서울시에 제출하겠다"고 말했다.

↑ 망원지구발전위원회가 제작한 전단지 ⓒ망원발전위 카페↑ 망원지구발전위원회가 제작한 전단지 ⓒ망원발전위 카페
◇서울시 “초고층 오히려 사업성 떨어져”

망원동 주민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자 서울시는 난감해하고 있다. 서울시 주택국 관계자는 "’타운하우스는 시가화된 주거지에 이미 형성된 가구를 유지·활용하면서 블록 단위로 형성된 5~7층의 중층 공동주택"이라며 "획일적인 초고층 아파트에서 탈피해 서울시 주거 유형을 다양화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망원지구에 초고층 건물을 지어도 조성비용이 주민들에게 부담돼 사업성이 떨어지고, 오히려 저층이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며 "주민들이 재산권 보호만 생각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시는 주민들의 민원이 이어지자 2월 말 지역 주민들에게 시의 주택 정책에 대해 홍보하는 자리를 마련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시가 내놓은 정책 틀 안에서 세부 추진 계획을 다시 짤 것"이라면서도 "주민들의 반발 때문에 한강변 개발 계획이 흔들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합정지구 개발 예시 ⓒ서울시↑ 합정지구 개발 예시 ⓒ서울시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