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아파트 광역개발, 50층 허용

머니투데이 원정호 기자 2009.01.19 11:15
글자크기

서울시, '한강 공공성 회복선언' 발표

서울 한강변에 병풍처럼 늘어선 노후 아파트들이 최고 50층 높이의 초고층 아파트로 재건축된다. 성수·합정·이촌·압구정·여의도 등 5곳은 재건축 선도구역으로 지정, 각 구역별로 합동 개발된다. 이때 사업부지의 4분의 1을 공공에 기부채납해야 초고층 개발이 가능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9일 한강 선유도공원에서 기자 설명회를 열고 사유화된 한강변의 공공성 회복을 위해 한강변에 위치한 재건축단지가 공공용지나 기반시설로 전체 부지의 25%를 제공할 경우 높이를 완화해 주는 내용의 '한강 공공성 회복선언'을 발표했다.



시가 마련한 한강변 높이 완화안에 따르면 여의도·압구정·잠실단지는 최고 50층 내외, 평균 40층 내외로 지을 수 있게 된다. 성수·이촌·반포·구의자양·당산 등은 최고 50층, 평균 30층 내외로 재건축된다.

↑ 용산 워터프론트 타운 조감도↑ 용산 워터프론트 타운 조감도


이 경우 현재 판상형으로 길게 늘어서 있는 한강변 아파트의 경우 개방감과 시각통로를 확보하고 스카이라인도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특히 성수·합정·이촌·압구정·여의도 등 5개 구역은 한강변 재건축을 선도할 '전략정비구역'으로 정하고 연내 마스터플랜을 수립, 조속히 합동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이들 5대 정비구역의 경제적 개발효과는 총 생산 28조원, 고용창출 20만명으로 추산돼 침체된 건설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란 게 시의 예측이다. 시는 또 망원·당산·반포·잠실·구의자양 등은 중장기적으로 중소 규모 개발이 예상되는 '유도정비구역'으로 정하고 단계적 발전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아울러 재건축시 한강 양쪽을 남북벨트로 연계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한강변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용도를 생태첨단산업(마곡~상암), 문화예술(당산~선유도~망원·합정~홍대문화지구), 국제금융업무(여의도~용산),보행문화(이촌~반포), 신문화복합(성수~압구정), 역사문화(암사~아차산)으로 각각 특화하기로 했다.

시는 이번 발표로 지분쪼기기 등 부동산 투기가 우려됨에 따라 한강변 단독주택지의 건축허가를 제한할 방침이다. 이어 재건축사업 추진으로 공공에 기부채납된 부지는 한강변에 공원 문화시설로 사용, 일반 시민들의 한강 접근성을 개선할 예정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