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책 '집값안정'서 '디플레방어'로

머니투데이 이상배 기자 2008.12.21 17:58
글자크기

日의 '잃어버린 10년' 사태 우려

부동산정책 '집값안정'서 '디플레방어'로


부동산정책의 중심이 '집값 안정'에서 '집값 급락 방지'로 완전히 돌아섰다.

부동산 가격 급락을 방치했다간 디플레이션(물가하락)이 확산되면서 자칫 일본의 '잃어버린 10년'과 같은 사태를 맞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투기 차단'은 뒷전으로 밀려 향후 경기회복시 '투기 열풍'이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21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주택) 시장이 안정되는 지금 같은 시기에는 과거에 했던 시장원리에 반하는 정책들을 정상화시켜야 한다"며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만 주택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로 남겨두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임 의장은 "주택 실거래가격이 (고점 대비) 20~30% 떨어진 것으로 나오는데, 이것이 자산 디플레로 연결되면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수 있다"며 "거품이 빠지는 정도로 (주택가격을) 연착륙시켜야 실물경기가 반등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18일 "전세계적으로 주택 등 자산의 디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강남3구에 대한 투기지역 지정을 해제하는 방안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또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에게 주택시장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서 마련해 보라고 했다"고 말했다.

재정부는 그동안 주택가격 급락을 막아야 한다는 국토부의 주장에 공감하면서도 투기재발을 우려해 강남3구에 대한 투기지역 해제 등 추가적인 규제 완화에는 반대해왔다. 그러나 최근 용인 등 일부지역의 집값이 급매물을 중심으로 고점 대비 40% 가까이 떨어지는 등 집값 하락세가 심상치 않자 강 장관 주도로 입장을 선회했다.

디플레 확산에 따른 일본의 '잃어버린 10년'과 같은 사태는 막아야 한다는 논리가 '투기 차단'이라는 논리를 눌렀다. 일본의 상업지역 토지 가격은 1989년 자산 버블이 붕괴된 뒤 92∼96년 매년 20% 가까이 하락했다.


이처럼 자산가격이 장기간 하락할 경우 기업들 입장에서 토지 가격이 추가로 하락할 것을 기대하고 투자를 미루는 '투자이연' 현상이 나타난다. 또 자산가격 하락이 소비재가격 하락으로 이어지면 소비자들 입장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더 떨어지길 기대하며 소비를 미루는 '소비이연' 현상도 벌어진다. 이런 경우 경제 전체는 돈을 아무리 풀어도 돈이 돌지 않는 '유동성 함정'에 빠진다.

실제로 주택가격 하락이 소비를 짓누르는 효과는 주가 하락과는 비교가 안 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추정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실질주택가격이 1% 떨어질 경우 민간소비는 0.18% 위축된다. 이는 실질주가가 1% 떨어질 경우 소비가 0.03% 위축되는 것과 비교할 때 6배의 영향력이다.



한 정부 관계자는 "지금 당장은 주택시장에 투기가 나타날 가능성이 거의 없다"며 "그러나 기회를 기다리며 숨어있는 유동성이 상당하기 때문에 내년 하반기 이후 경기가 회복될 때 주택 투기가 재발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