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S "한국경제, 내년 -3% 성장"(상보)

머니투데이 장웅조 기자 2008.11.21 14:44
글자크기

부채축소 따른 구매력 감소가 정부경기부양 효과 압도

-한국의 GDP대비 비금융부문 부채규모는 220% 상회
-의심의 여지 없는 신용 거품, 곧 터진다
-신용축소되면 상쇄 비용 수백조에 달해
-정부 발표한 경기부양 규모는 14조원

UBS는 20일자 보고서를 통해 "한국 경제가 2009년 -3%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간부문의 부채위기가 폭발하며 사실상 환란경제를 맞을 것이란 극단적 전망이다.



UBS는 이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경제가 1.1% 성장할 것이라던 우리의 기존 전망이 너무 낙관적이라는 것을 실감했다"며 성장률 예상치를 -3.0%로 낮췄다.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의 과정이 시작되면 신용 거품(bubble)이 터질 것이라는 증거가 보인다는 이유에서다. 정부의 노력은 이를 막는 데는 턱없이 부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의 과정이 시작되면 신용 거품(bubble)이 터질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부문 부채비율은 꾸준히 높아져 올해 2/4분기말 220%를 넘는 수준으로까지 확대됐는데 이는 최근 금융위기의 진앙이 된 미국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UBS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문에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고 실업률이 증가하면 부채축소가 시작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UBS는 한국의 GDP 대비 총신용잔액이 27%에 이른다는 한국은행의 자료를 인용하며, 여신공급자측면에서도 추가로 여신을 줄 수 있는 여지가 이미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지난 30년간의 자료를 보면 이 비율은 30%선에 접근했을 때마다 떨어졌다는 것이다.

이들에 따르면, 한국은 90년대 초 일본과 비슷하다. 1990년대 일본도 사적 부문의 부채가 너무 많았으나 구조조정이 연기되며 빚에 의존한 성장만 지속된 결과 자연스런 디레버리징이 왔다. 정부가 매년 GDP의 8%나 되는 재정적자를 감수해 가며 공공부채를 늘렸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사적 부문의 부채축소로 인한 구매력을 회복하지도 못했고, 기존의 강한 성장률을 복구하지도 못했다. 이것이 바로 '잃어버린 10년'이라고 UBS는 덧붙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