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빅3', 의회에 압박·읍소 '막바지 안간힘'

뉴욕=김준형 특파원 2008.11.19 06:02
글자크기

폴슨·버냉키, '반대' 입장… 19일 표결 통과 불투명

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미국의 자동차 대기업 '빅3'의 최고경영진(CEO)들이 정부로부터 구제자금을 받기 위해 막바지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들은 18일(현지시간) 미 상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참석, 자동차산업을 구제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국민들의 세금을 절약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포드자동차의 앨런 멀럴리 회장은 이날 증언에서 "(지원을 거부했을 경우)그렇잖아도 취약한 경제에 미칠 거대한 위험을 감수하는 것보다, 지원하기로 결정하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라며 자동차 산업이 붕괴될 경우 닥칠 '재앙'을 볼모로 으름장을 놓았다.



로버트 나델리 크라이슬러 회장은 "즉각적인 브리지 론(중개대출)이 없을 경우 크라이슬러의 유동성은 위험한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경우 은퇴 직원들의 의료비지원과, 연금, 직원월급을 지급하기 힘들어진다 고 강조했다.

의회가 구제자금을 지원할 경우 이를 회생에 꼭 필요한 곳에 쓰겠다는 '다짐'도 이어졌다. 릭 왜고너 제너럴 모터스(GM)회장은 "구제자금을 신차 개발, 부품구매, 임금 등 필수적인 영업활동에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17일 자동차 '빅3'에 7000억달러 구제금융을 재원으로 최대 250억달러의 저리융자를 제공하는 내용의 지원 법안을 제안한 민주당 해리 리드 상원 원내대표는 자금지원에는 장기 재무개선계획, 경영진 보수제한 등의 조건이 뒤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상원은 이날 청문회에 이어 이르면 19일 자금 지원법안을 표결할 계획이다.
그러나 공화당 의원 절대다수가 구제금융지원에 반대하고 부시 행정부 역시 구제금융 사용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바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헨리 폴슨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의회 청문회에 참석, 부실자산구제계획(TARP) 자금을 자동차 산업 지원 등에 전용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 역시 "구제금융으로 은행 지분을 매입하는 것이 시장 정상화에 매우 중요하다"며 구제금융 자금을 금융 이외 부문에 사용하는데 반대입장을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