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美 정부,車산업 지원 신중해야"

워싱턴=송기용 기자 2008.11.17 20:00
글자크기

CNN 인터뷰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관련 발언

G20 금융정상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각) GM, 포드 등 도산 위기를 겪고 있는 미 자동차 산업과 관련, "미국의 자동차 산업이 살아나기를 원하지만 미 정부의 지원은 좀 더 신중한 고려야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에서 미 케이블 채널 뉴스 CNN과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 자동차 산업계가 자유무역을 반대하고 있는데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이 대통령은 "자동차는 미국 국민들에게 대표적인 산업이고, 직간접적으로 종사하는 근로자들도 많아 보호해야 한다고 하는 것 같다"며 "나는 미국의 자동차 산업이 살아나는 것을 원하고, 그것이 세계 경제 특히 한국에 유리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미국 정부가 자국 차 산업에 대한) 보호를 잘못하면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위배되고, 미국이 그렇게 한다면 다른 나라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펼칠 것"이라며 "지원방법에 대해 미국 정부가 좀 더 관심을 기울이고 신중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자동차 노조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는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 당선자 측이 GM 등의 파산을 막기 위해 경쟁국인 한국을 강하게 압박하는데 대한 반응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대북 문제와 관련, "오바마 당선인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만남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오바마 당선인이 김 위원장을 만나겠다고 하면 지지하겠냐'는 질문에 "사전에 한미 양국간 충분한 협의가 있어야 하겠지만 두 사람이 직접 만나서 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만나는 것을 반대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또 북한의 개성공단 폐쇄 압박과 관련, "북한이 장기 전략을 쓰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면 된다"며 "북측이 미국의 정권교체 과정을 이용해 몇 가지 액션을 취하고 있지만 오바마 당선인 취임 후에 한국과 미국이 잘 협의하면 효과적으로 북한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북한의 후계 구도와 관련해서는 "김 위원장이 아직 후계자를 확정하지 않은 것 같다, 후계자를 정하는 문제가 그렇게 쉬운 것은 아닐 것"이라며 "누가 후계자가 되든 남북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오바마 당선인과의 관계에 대해 "미국이 변화를 필요로 할 때 변화를 주도할 지도자가 나온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미국의 변화가 세계 다른 나라에도 매우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바마 당선인과 전화로 대화를 나눠보니 아시아를 이해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한국과 아시아와의 관계, 그리고 세계의 리더십을 회복하는 문제에 있어서 오바마 당선인에게 거는 기대가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인터뷰는 미국 동부시각으로 17일 오전, 한국 시각으로 17일 저녁 CNN 간판 뉴스 프로그램인 아메리칸 모닝 등을 통해 미국 전역과 전 세계로 방송됐다.
TOP